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23.11.04

내가 말을할때랑 녹음할때 듣는소리가 다르게 느껴지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내가 직접 말을 해서 듣는소리와 녹음을 해서 듣게되면 이게 내 목소리인가 하고 의아할때가 많습니다.

알고보니 다른 많은 사람도 그렇게 느끼는데 이런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유는 자신이 말하는 소리는 몸의 진동을 타고 들리게 되고, 다른 사람의 말은 공기를 타고 전달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소리 자체가 다르게 되는데 녹음기에 녹음된 자신의 목소리 또한 공기를 타고 전달된 소리이기 때문에 다르게 들리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평소에 본인의 목소리는 내부에서 올라오는 진동에 의해서 귀안쪾과 뼈쪽으로 소리가 들리는 반면에 녹음된 소리는 오롯이 외부 진동에 의해 고막을 통해서 들리는 소리로 다르게 느껴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평소에 듣는 목소리는 공기 전도와 골 전도의 두 가지 경로를 통해 전달된 소리가 합쳐진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녹음된 목소리를 들을 때는 공기 전도만으로 듣기 때문에, 평소에 듣는 목소리와 다르게 들리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그 이유는 공기로만 전달되는 소리와 또 내 신체와 소리로 함께 전달되는 소리의 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두개골의 진동은 저음을 강조함으로 더 깊고 풍부하게 들립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스스로 말을 할때 듣는 소리는 밖으로 울리는 소리와 우리의 신체나 골을 통해서 전달되는 음을 포함한 소리입니다.

    순수하게 밖으로 울려퍼지는 소리는 이 소리와는 차이가 생기게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04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생리학적인 관점에서 녹음된 목소리가 안 좋게 느껴지는 이유로는

    녹음된 목소리와 직접 듣는 내 목소리가 뇌로 전달되는 과정의 차이에 있습니다


    녹음된 목소리를 들을 때는 소리가 공기를 통해 귀로 전달됩니다

    이를 ‘공기 전도’라고 부르는데

    음향 에너지가 고막과 귀뼈들을 진동시키고, 이것이 달팽이관으로 전달됩니다

    그리고 달팽이관은 청각신호를 뇌로 전달하는 축삭돌기를 자극하게 됩니다


    반면, 직접 내 목소리를 들을 때는 소리 중 일부만이 공기 전도를 통해 내 귀로 들어오게 되고, 나머지 내 목소리의 대부분은 직접 두개골로 전달됩니다


    이처럼 몸의 내부와 외부에서 동시에 소리가 전도되기 때문에, 녹음된 목소리와 차이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전달 경로: 자신이 말할 때에는 음성이 목과 구강을 통해 직접 전달되어 내부에서 직접 들리게 됩니다. 이에 반해, 녹음된 소리는 마이크로폰 등 외부 장비를 통해 촬영되고 이어폰 또는 스피커를 통해 다시 재생됩니다. 그래서 전달 경로와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듣는 소리가 다르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2. 음향 처리: 자신이 말할 때는 음성이 목과 구강에서 직접 반영되어 나오는 소리이기 때문에 음향 처리에 의한 변형이 적습니다. 그러나 녹음된 소리는 외부 장비와 환경에 따라 다양한 음향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음향 처리는 소리의 주파수, 음량, 반향 등을 변경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듣는 소리가 다르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자신이 직접 말을 할 때와 녹음을 들을 때 듣는 소리가 다르게 느껴지는 이유는 사실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이는 음성이 발생하는 방식과 관련이 있습니다. 제가 말을 할 때는 목소리가 공기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어 들리게 되지만, 녹음을 할 때는 마이크를 통해 직접 음성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두 가지 상황에서의 소리 전달 방식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또한, 자신의 목소리는 제가 듣는 것보다 주변 환경에서 반사되는 소리가 더 많이 포함되어 들리게 됩니다. 그래서 제가 직접 말할 때 듣는 소리와 녹음을 들을 때 듣는 소리는 조금 다르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이러한 차이는 사람마다 다르게 느낄 수 있지만, 이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다른 많은 사람들도 이런 현상을 느끼는 것은 당연한 일이며, 이는 과학적인 이유 때문입니다. 제가 답변해 드린 내용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귀의 달팽이관의 진동으로 소리를 듣게 됩니다. 타인의 말소리는 공기를 통해 전달되는, 기도청력으로 듣게 되지만,

    본인 목소리는 두개골을 통해 직접 전달되는 골도청력도 같이 듣게 됩니다.

    영상의 내 목소리 = 기도청력으로 들었음.

    내가 말할때 듣는소리 = 기도청력 + 골도청력으로 듣게됨.

    이런 이유로 목소리가 다르게 느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