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올곧은두꺼비259
올곧은두꺼비259
21.04.22

아직도 정보처리기능사를 따면 주변it회사에서 좋은 스펙이 될까요?

제목과 같습니다!

아직도 정보처리기능사를 따면 주변it회사에서 좋은 스펙이 될까요? 기존 컴활1급을 공부하고 있었는데 공기업에서나 쓰인다는 얘기를 듣고서 힘이 빠지더라고요. 이번에는 제대로 알아보고서 도전해보려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기막힌낙지293
    기막힌낙지293
    21.04.23

    안녕하세요.

    정보처리 기사의 경우 공기업 취업에 있어 기본 조건으로 포함이 될 수 있습니다.

    일반 중소기업의 취업의 경우 기본 학원 경력을 이용하여 취업이 가능하며,
    취업 시 자격증 취득을 하실 경우 가점이 될 수는 있으나 기본 취업 조건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단, 취업 후 파견직으로 업무를 하실 경우 공기업의 파견 업무 시 기본 자격증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정보처리 기사의 경우 기본 취득을 하시는 것에 대해서는 좋은 방향으로 생각됩니다.

    정보처리산업기사, 정보처리기사 등 갱신이 필요없는 국가 자격증은 취득을 미리 하시는 것을 추천하여 드립니다.
    추후 해당 자격증을 필요로 하는 업체에 취업을 하실 수 있어 넓은 취업계층을 다룰 수 있습니다.

  • 프로그래밍 쪽은 자격증은 의미가 없다고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자격증을 취득한다고 하더라도 프로그래밍 실력을 보증하는 것이 아니다보니 취업시에 큰 이득도 없습니다.

    만약 둘다 똑같은 실력이고 유일한 차이점이 자격증이라면 자격증이 유리할수는 있지만 젤 중요한건 프로그래밍 실력입니다.

    실력이 없다면 자격증이 많아봤자 소용없다고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일반 사무직으로 일한다면 모를까 컴활 자격증에서 배우는 내용은 IT 회사에서는 굳이 따지 않아도 할 줄 알아야 하는 기본으로 생각하셔야 할 듯 합니다.

    모든 회사가 똑같은건 아니지만 제가 다니는 회사를 기준으로 말씀드리자면, 초기에는 취직 시 정보처리기사가 필수 자격증이 아니였지만 지금은 필수로 가지고 있어야 하는 자격증입니다.

  • 정보처리기능사 보다는 정보처리기사 정도는 되어야 가산점을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사기업은 자격증 보다는 코딩 테스트를 많이 보고 실력을 판가름하기 때문에,

    사기업을 준비하실 계획이라면 해당 기업의 코딩 테스트 준비를 하셔야 됩니다.

    아래는 삼성 sw 테스트 기준 코딩 테스트 준비 사이트입니다.

    https://bloodstrawberry.tistory.com

    https://ryute.tistory.com

    저도 취준생일 때 불안감에 컴활 1급, 정보처리기사, 워드 모두 취득하긴 했으나,

    정작 큰 도움은 안됩니다. 자소서에 1줄 추가하는 정도인데, 코딩 테스트를 넘지 못하면 사기업 취업은 힘듭니다.

    공기업 쪽을 준비하신다면 공기업 IT는 보통 정보처리기사 유무를 물어봅니다.

    하지만 공기업에서의 IT 업무는 보통 관리직이 많기 때문에, 개발을 하고 싶으시다면

    자격증 취득은 정말 시간이 많으실 때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프로그래밍은 원래 혼자서 독학해야 하는 직종입니다. 대부분의 모르는 것들은 구글에 검색하면 다 나옵니다. 혼자서 독학하기에 좋은 프로그래밍 인강 사이트는 유료로 한다면 인프런 이라는 사이트가 있고 일단 맛보기라도 먼저 해보고 싶으시다면 생활코딩이라는 사이트를 접속하셔서 한 번 영상 훑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시작하기 좋은 프로그래밍언어는 nodejs 혹은 javascript, python 등이 있습니다. 만약 앱개발을 원하신다면 무조건 자바를 하셔야 합니다. 안드로이드가 자바기반으로 되어 있으며 코틀린 언어를 사용하셔도 됩니다.

    현업에서는 C언어를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파이썬을 사용하는 부서는 있으며 주로 자바나 자바스크립트 nodejs 를 사용하는 부서가 가장 많습니다.

    그 외의 프로그래밍이라면 html, css, javascript 등과 같은 것은 https://w3schools.com 에서도 충분히 학습하실 수 있습니다.

  • IT 관련 자격증

    국가공인자격증

    자격증명/시행기관/관련 분야

    정보보안기사/한국인터넷진흥원/코딩,네트워크,서버,DB 등

    정보보안기사/한국인터넷진흥원/코딩,네트워크,서버,DB,보안 등

    네트워크 관리사 2급/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네트워크

    리눅스 마스터 2급/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서버

    국제공인자격증

    자격증명/시행기관/관련 분야

    CCNA/Cisco/네트워크

    OCP/oracle/데이터베이스

    OCPJP/oracle/java

    ASW/Amazon/클라우드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1.04.22

    안녕하세요.

    제가 보기에는 정보처리 기능사는 별로 도움이 안될 거 같습니다. 최소 정보처리 기사는 취득하는게 좋습니다.

    정보처리 기사는 응시 자격이 있기 때문에 아래 기준에 하나라도 해당이 된다면 도전하시고,

    해당이 안된다면 기능사 취득 + 3년 실무 경력으로 기사에 응시할 자격을 갖추는 것도 괜찮을 거 같습니다.

    * 학력 기준

    • 4년제 : 졸업 또는 4학년 1학기 이상 재학/휴학/재적

    • 3년제 : 졸업 후 1년 실무 경력

    • 2년제 : 졸업 후 2년 실무 경력

    * 경력 기준

    • 동일 직무 분야의 4년 이상 실무 경력

    • 기능사 취득 후 3년 실무 경력

    • 산업기사 취득 후 1년 실무 경력

    * 기타

    • 학점인정법률에 의거하여 106점 이상 취득

  • 안녕하세요.

    어느 자격증이든 도움이 되지 않는것은 없습니다.

    다만 자신의 컴퓨터 활용 능력을 증명하기 위한 자격 수단이라면

    정보처리기능사보다는 컴활1급을 따시는걸 추천해 드립니다.

    IT 계열의 개발직군이라면

    정보처리기능사도 좋은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학사 이상의 전공자라면

    정보처리기사를 따시길 바랍니다.

    기능사 -> 산업기사 -> 기사의 순입니다.

    컴퓨터 공학이나 관련 과목을 조건에 맞게 이수하셨다면 기사 자격증 시험이 부여되니

    기능사는 굳이 따지 마시고 바로 기사 준비하여 자격증을 따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프로그래밍 지식 답변자 입니다.

    정보처리기능사를 따면 좋은 스펙이 뒬 수 있을지 문의를 주셨는데요. 기능사 자격증은 국가기술 자격증 중 가장 낮은 단계의 자격증 입니다. 정보처리산업기사 이상의 자격증을 취득하셔야 스펙으로 인정받기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