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말쑥한고니96
말쑥한고니9620.10.10

술을 마시고 깨려고 하면 왜 머리가 아픈가요 ?

술을 마시고 깨려고 하면 두통이 옵니다 .

머리가 아파서 한참을 누워있게 됩니다 .

마실때의 즐거움이 좋지만 술을 깰때 두통때문에 힘든데요 .

술을 먹고나서 깰 때 오는 두통은 왜 오는 건가요 ?

알고 싶습니다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음주 후 하루 정도는 숙취 때문에 두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숙취가 일어나는 이유는 인체가 분해할 수 있는 알코올보다 더 많은 양이 한꺼번에 들어와 제때에 처리되지 못해 혈액을 타고 알코올 성분이 인체 각 부위에 영향을 끼치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위점막을 자극해 배가 아프거나 미식거리게 되며 뇌 신경을 자극해 두통이 나타나게 됩니다.

    정상인의 간이 24시간 동안 분해할 수 있는 알코올의 양은 160g(소주 3병, 맥주 16병 정도)으로 이보다 많은 양이 섭취되면 9~12시간 후에 숙취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하지만 숙취 정도는 알코올양과 개인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알코올 분해효소는 선천적으로 타고나며 개인별로 차이가 큰데, 이 효소가 적은 사람은 숙취 상태가 오래 가는 것입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0.10.11

    술자리도 너무 좋고 술을 마시고 따라오는 숙취인 두통은 너무 힘들죠.

    안타깝지만 숙취 중 하나인 두통은 아직 원인을 알 수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찾아보면 해결 방법은 널리고 널렸습니다!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음주를 하기 전에 꼭 간을 보호하는 제품을 꼭 섭취하는 것입니다.

    즐거운 음주 생활 즐기세요!!!


  • 알코올은 산화되면 알데하이드로 가는데, 산화라는거는 화학반응 중 하나로, 산소 호흡으로 물질대사(이화)를 하다보면 산화반응이 잘 일어나게 됩니다. 아무튼 에타놀이 산화된 중간물질인 아세트 알데하이드는 독성이 있습니다. 신체는 이 독성물질인 아세트 알데하이드를 해독하기 위해 혈관을 확장시키는데, 머리쪽 혈관이 확장되면서 머리가 아파지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