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물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눈을 감고 제자리 걸음을 걸으면 도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얼마 전에 친구가 그러던데 눈을 감고 제자리가 얼음을 걸으면 한쪽으로 몸이 돌아간다고 정말 해 보니 그렇게 되더라고요 이렇게 눈을 감고 제자리 걸음을 걸으면 돌아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멋쟁이야나는
    멋쟁이야나는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1. 시각 정보 부족: 눈을 감으면 시각적인 정보가 없어지기 때문에 우리의 뇌는 방향과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워집니다. 시각 정보는 우리가 몸의 움직임과 주변 환경을 인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눈을 감으면 우리의 뇌는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게 됩니다.

    2. 전정기관의 역할: 우리의 균형을 조절하는 주요 기관인 전정기관은 내부에 위치한 유돌과 유돌에 달린 세 개의 반원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반원관은 머리의 움직임에 따라 유돌 안의 액체가 움직이면서 우리의 균형을 유지합니다. 하지만 눈을 감으면 시각적인 정보가 없어지기 때문에 전정기관이 움직임을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우리의 균형이 어지럽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걷기 위해서는 많은 정보를 취합해서 걷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시각정보과 귀에 있는 반고리관의 균형감각에 들어오는 정보를 가지고 우리가 똑바로 걸을수가 있는데요. 눈을 감으면 정확한정보를 받지 못하게 됩니다. 그리고 우리가 대부분의 사람은 많이 사용하는 근육이 미세하게 더 많이 발달되게 되는데요. 그래서 발도 왼발과 오른발이 조금의 차이가 있습니다. 대부분 오른손 잡이는 오른발을 더 많이 사용해서 오른발의 근육이 더 발달되어 있어서 미세하게 보폭이 더 넓을수 있습니다. 또한 사람마다 다치거나 환경에 따라서 보폭의 차이가 발생될 수 있어서 눈을 감고 걸으면 한쪽으로 돌게 되는 것입니다.

  • 눈을 감고 제자리 걸음을 걸을 때에는 주변 시각 정보가 부족하여 균형을 유지하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도는 경향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유발진동' 또는 '자율진동'이라고 불리는 현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먼저, 눈을 감으면 시각 정보가 없어지기 때문에 시각적인 고정점이나 방향을 참조할 수 없습니다. 이로 인해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시각적인 정보가 사라지게 되며, 균형 조절이 어려워집니다.

    그리고 제자리 걷는 동안 발바닥의 미세한 움직임이나 근육 수축 및 이완 등으로 인해 지면과의 작은 변화가 발생합니다. 이 작은 변화들이 몸의 미세한 움직임을 유발하는데, 이것이 균형을 잡기 위한 노력으로 작용합니다. 그러나 충분한 시각 정보가 없는 상황에서는 이러한 미세한 움직임들이 과도하게 증폭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몸이 주변에 비해 불안정하게 움직이며, 이러한 불안정함이 자율적인 진동으로 이어져 몸이 돌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균형을 유지하는 인간의 뇌와 신체의 복잡한 상호작용 결과물이며, 눈을 감았을 때 시각 정보의 부재로 인해 불안정한 균형을 맞추려는 시도가 도는 현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평소 생활습관등으로 인해 사람은 일반적으로 비대칭을 이루고 있습니다.

    눈감고 제자리걸음시 방향이 틀어지는 이유는 이러한 비대칭으로 골반이 틀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이 눈을 감고 걸으면 똑바로 걷지 못하는 이유는 시각정보의 상실로 인항 평형감각 오류 때문입니다.

    사람은 시각 정보와 전정기관에서 들어오는 정보를 가지고 평행을 잡고 똑바로 걸어 갈 수 있는데 눈을 감고 걸으면 처음에는 거의 똑바로 갈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방향이 틀어지게 됩니다.

    이는 시각정보의 상실로 정확한 정보를 어지 못하다 보니 하나의 감각에서 얻은 정보만으로 몸의 평형을 잡는데서 오류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을 감으면 시각 정보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균형을 유지하기가 어려워집니다. 이로 인해 몸이 한쪽으로 기울어져 도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눈을 감고 제자리 걸음을 걸면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근육을 사용하게 됩니다. 이때 근육의 사용이 불균형하면 몸이 한쪽으로 기울어져 도는 경우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을 감고 제자리 걷기를 하면 몸이 한쪽으로 돌아가는 이유는 '보행자 동작'이라는 현상 때문입니다. 이는 보행 동작 중 발생하는 일종의 불균형 상태로, 보행 중에 발에 작용하는 힘과 생체 역학적인 특성에 의해 발생합니다.

    보행자 동작은 보행 중에 발에 작용하는 힘이 지면의 마찰력보다 작아져 발이 미끄러지는 상황에서 발생합니다. 이때 발을 유지하기 위해 몸이 한쪽으로 돌아가는데, 이는 보행 동작에서 발생하는 불균형 상태를 보완하기 위한 몸의 반응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을 감고 제자리 걸음을 하다 보면 한쪽으로 몸이 돌아가는 이유는 우리 몸의 균형 감각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균형 감각은 눈, 귀, 근육, 관절 등 다양한 신체 부위의 신호를 받아서 조절하는 복잡한 시스템입니다. 눈을 감으면 시각적인 정보를 잃기 때문에 균형 감각이 떨어집니다. 또한, 우리 몸은 오른쪽과 왼쪽의 근육과 관절이 약간씩 다르기 때문에, 눈을 감고 제자리 걸음을 하다 보면 한쪽으로 몸이 돌아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을 감은채 제자리에서 돌게되면 오로지 평형기관내의 감각으로만 회전을 느끼게됩니다.


    이 상태에서 회전을 멈추면 몸은 멈추지만 평형기관안의 이석들은 관성에의해 계속 움직이고 신경자극을 만들어냅니다.


    이로인해 가만히있어도 일시적으로 돌고있는듯한 느낌을 받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제자리에서 돌게되면 우리 귀안에있는 평형기관도 함께돌게되는데, 도는것을 멈추어도 평형기관에는 관성이 나타나 계속도는듯한 느낌을 받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