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엑스포 2030을 유치하면 유치비용을 누가 감당하는지 궁금합니다.
부산 엑스포 2030을 유치하면 유치비용을 누가 감당하는지 궁금합니다.
각각의 나라에서 감당을 하는지 아니면 주체국이 감당하는지 궁금합니다.
유치되기를 기원하고 정말 이를 통해 도약하는 한국이 되었으면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엑스포의 유치비용은 엑스퍼를 개최할 국가에서 부담합니다.
보통은 중앙정부 보조금, 민간 등의 펀드, 지방정부, 입장권 등으로 충당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부산엑스포를 유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먼저 부산시가 자금을 집행해서 인프라 구축을 하게 되며 추가적으로 국가가 별도의 예산을 책정해서 자금 지원을 하게 될 것이라고 보시면 되세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30세계박람회(월드엑스포) 유치 경쟁이 ‘국가 총력전’으로 진행되면서 ‘엑스포 비용’에 대한 관심도 높다. 엑스포는 수조 원의 자금이 투입되는 세계적 초대형 이벤트다. 정부는 2030부산월드엑스포 비용 규모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았지만 2025년 일본 오사카엑스포 등을 감안하면 3조~4조 원 안팎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비용는 정부와 부산시가 부담합니다. 건설및 운영비용으로3~4조원으로 엑스포로 인한 경제효과는 43조의 생산 유발효과가 있고 18조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있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고용효과는 50만명으로 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부산시가 추산한 유치·운영 비용 27조6467억7500만 원에 45개 국가관 건립 비용 5791억4100만 원 (추정)을 더해 모두 28조2258억9100만 원이 투입된다고 합니다. 부산시와 우리 나라 정부가 투자를 하는 것이며 이로 인해 얻는 경제 효과가 50조 이상 이라고 하니 투자 대비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경우에는 해당 국가와 지자체 등에서
부담한다고 보시면 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