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대견한오솔개199
대견한오솔개199

북극항로의 실행 가능성은 얼마나 되며 언제쯤이 될까요

최근 회자되고 있는 새로운 무역의 통로

즉 북극 항로가 미래에는 분명히 실현된다는 많은 의견들이 있습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도 준비를 하고 있는 듯 하고요

과연 언제쯤 이러한 일이 현실로 일어날 수 있으며

조금 더 어떻게 무엇을 준비 보완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북극항로는 2020년대 내에 시범적으로 운항이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쇄빙선의 확충이나 허브 항만의 개발 등의 준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북극항로의 실행 가능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북극항로는 결국 기후가 바뀌면서 가능해지는 것으로

    그 가능성 자체는 매우 높지만

    다만 러시아 등의 외교 문제가 더 큰 걸림돌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지구 온난화로 북극 해빙 속도가 빨라지면서 북동항로와 북서항로를 통한 상업 운항이 계절적으로가능해지고 있어요.

    특히 러시아 연안을 따라가는 북동항로는 이미 러시아의 쇄빙선 지원 하에 에너지 및 자원 수송에 정기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기후 변화 추이를 고려할 때, 2030년경부터는 쇄빙선 없이도 운항 가능한 기간이 더욱 늘어나 본격적인 상업 항로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북극항로 얘기는 예전부터 나왔지만 이제는 현실적인 논의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보기에 기후 변화로 얼음이 점점 녹으면서 여름철 한정으로 일부 구간은 이미 운항이 가능해졌습니다. 다만 상업적으로 본격 활용되기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멉니다. 보험 문제, 항만 인프라, 구조체계 등이 제대로 갖춰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현실적으로 보면 2030년대 중반쯤은 돼야 안정적인 운항이 가능할 거란 전망이 많습니다. 우리나라도 이미 쇄빙선 기술이나 극지 물류 인프라 확보 쪽으로 준비를 시작한 상태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당장 수에즈 운하를 대체하는 주류 항로가 되기보다는, 러시아의 에너지 자원 무역 같은 틈새 시장으로 남을 가능성이 큽니다. 미국이 어떻게 나올지에 따라 개척 속도도 달라질 수 있는 부분이지만 중국이랑 러시아가 북극항로 협력을 강화하고 있고, 러시아 아르한겔스크 주지사는 5~6년 안에 1년 내내 항해가 가능해질 거라고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10년 뒤쯤이면 북극의 얼음이 많이 녹을 거라는 예상도 있어서 그때가 되면 더 활성화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