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요리조리마수리346
요리조리마수리34623.12.16

일제강점기 문화통치로 넘어가게 된 이유가 뭘까요?

1910년 국권이 일제에 넘어가면서 강압적인 일제의 통치방식이 있었습니다. 그런더 1920년대 접어들면서 문화통치로 변화되기 시작했는데 그 이유가 무엇이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제는 국권을 피탈하고 우리 민족의 저항을 억누르고, 효율적으로 통치하기 위해 무단 통치를 시행했습니다. 그러나 3.1 운동으로 무단 통치로 한국인의 저항을 억누를 수 없다고 판단합니다. 게다가 국제적 비난 여론의 영향을 일제는 이른바 문화 통치로 전환하였습니다. 그러나 한국인들을 존중한다는 문화 통치의 실상은 친일파를 육성하여 우리 민족을 이간 분열 시켜 효율적으로 통치하려는 술수에 불과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3·1 운동 이후 일제가 조선의 반발을 무마시키기 위해서 기존의 무단 통치방식을 버리고 내세운 새로운 식민지 통치방식을 말하는데 표면적으로는 조선인에 대한 차별을 완화하는 등 여러 유화정책을 실시했지만, 이는 악랄한 식민지 정책을 은폐하고 미화하려는 위장수단에 불과 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너무 강압적으로만 헌병 등을 통하여 통치를 하는 등 한다면

    조선인들의 반발이 심하기에 이에 따라서 문화통치로 전환하였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3.1운동이 계기 입니다.

    일본이 식민 제국으로써 초보자 였다 보니까

    한국을 상대로 무단통치란 매우 강경한 정책을 펼쳤는데

    3.1운동이 한반도 전역에서 격렬하게 일어나는 것을 보고

    "...어.. 혹시 정책 잘못 펼쳤나? 저러다 진짜 반란 터질꺼 같은데.."

    라는 생각을 일제 대가리들이 드디어 하게 되서 유화적인 문화통치로 바꾼 것 입니다.

    실제로 이광수를 비록해 친일파가 잔뜩 나왔으니 문화통치가 효과적이었다고 할 수 있죠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19년 3.1운동을 계기로 일제는 무단통치의 한계와 국제 여론 악화를 의식해 문화통치로 방향을 바꾸게 됩니다. 일부의 쟁의를 허용해 주기도 하고 경성제국대학에 맞서 조선인의 대학을 세워야 한다는 민립대학운동을 묵인하고 우리의 물건을 써야 한다는 물산장려운동을 억누르지도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