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
24.03.27

물과 만나서 철이 녹이쓰는 현상은 과학적으로 어떻게 표현이 가능한가요 ?

문득 길을 지나다가 철제가 녹이 쓴 모습을 보니 궁금해 지는데 어떤 과학적으로 어떻게 설명을 할수 있는지와 어떤 과학식으로 표현이 가능한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건조한낙타 245
    건조한낙타 245
    24.03.29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철이 녹스는것을 산화작용이라고 합니다. 철과 물 또는 산소가 만나서 반응하면서 생기는 부산물이 녹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철제가 녹슬기는 산화라는 화학 반응의 결과입니다. 철은 물과 산소에 노출되면 전자를 잃고 철 이온으로 변합니다. 이 철 이온은 산소와 결합하여 수산화철이라는 녹을 형성합니다. 녹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산화되어 적갈색의 수화철 산화물로 변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철이 녹슬어 보이는 현상은 화학적 반응을 통해 설명할 수 있습니다

    철이 산소 및 수분과 반응하여 형성되는 산화철인 녹은

    과학적으로 산화 환원 반응의 일종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반응의 화학식은 일반적으로 4Fe + 3O2 + xH2O → 2Fe2O3·xH2O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여기서 Fe는 철을 O2는 산소를 H2O는 물을 나타냅니다

    Fe2O3·xH2O는 수화된 산화철의 일반적인 형태로

    이 화학식에 따르면 철은 산소와 반응해 산화철을 생성하며

    수분의 존재하에서 더 쉽게 반응합니다

    날씨가 습하거나 물이 있는 환경에서 철은 더 빠르게 녹슬며

    반응 속도는 환경 조건과 철의 성질에 따라 달라집니다

    녹은 철제 구조물의 약화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그것의 형성과 확산을 막기 위해 보호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녹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페인팅 도금 또는 다른 형태의 코팅이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철의 색깔이 변하는 것은 산화 때문입니다. 공기중에 산소와 만나 표면이 산화되면서 산화철을 생성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철이 녹이 스는 원인은 산화라고 합니다. 산화란 물질이 산소와 반응하여 새로운 물질로 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철은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철이라는 물질로 변합니다. 이 산화철은 붉은색을 띠기 때문에, 철이 녹슬면 붉은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철을 공기중이나 물에 담가 놓으면 철은 산화반응이 일어나는데요 산화라는 것은 산소와 결합을 했다는 의미입니다. 철이 공기중 산소와 물을 만남으로 급격하게 산화하여 산화철이 되는데 이것이 녹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철 표면에 있는 철 원자들이 물과 반응하여 수소 이온과 수산화 이온를 생성합니다. 물분자가 수소와 수산화 이온으로 분해되고 철표면에 수산화철를 형성합니다. 그리고 녹인 철산화물인 Fe2O3로 변화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