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3.12.06

실험용으로 사용되는 동물이 쥐로 사용되는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흔히 무슨 실험을 할 때 보면 생쥐를 많이 사용하던데

인간과 유전자가 비슷해서 그런건지

생쥐로 실험을 많이 하던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크기와 번식력: 쥐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어 실험실에서의 관리와 케어가 비교적 간편합니다. 또한 쥐는 번식력이 높아서 실험에 필요한 동물을 상대적으로 빠르게 번식시킬 수 있습니다.

    2. 유전적 유사성: 쥐의 유전체는 인간과 유사한 점이 많아서 인간 질병 연구 등에 사용하기에 유용합니다. 쥐의 유전체를 조작하여 유전적으로 유사한 인간 질병 모델을 만들어 실험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3. 생리학적 유사성: 쥐의 생리학적 특성은 인간과 유사한 점이 많아서 인간의 생리학적 반응을 예측하기에 도움이 됩니다. 이를 통해 약물 효능, 독성, 효과 등을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4. 유지 및 관리 비용: 쥐는 비교적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고, 소형 사이즈로 인해 공간과 비용 면에서도 유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과학전문가입니다.

    2001년 인간의 게놈 지도를 완성한 뒤 2002년 쥐의 게놈 지도를 완성했는데 쥐는 인간과 다른 모습을 하고 있는 생명체이지만 유전자 만큼은 80% 이상이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런 특징 때문에 사람이 걸리는 고혈압, 비만, 당뇨, 암,우울증 같은 여러 가지 질병에 걸리기도하며 치료 약을 투입했을 때 나타나는 효과가 인간에게도 비슷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물론 고릴라의 유전자가 인간 유전자와 98%가 같다고 하나 고릴라의 경우 다루기도 어렵고 사육하는 것이 쉽지 않아 쥐를 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통계에 따

    르면 2018년 국내에서 사용된 실험용 동물 중 98%가 설치류였습니다. 쥐는 몸집이 작기 때문에 사육하는데 공간이 많이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없고 약하기 때문에 다루기가 쉽습니다.

    또 쥐는 임신 기간이 짧은 데다 한 번에 5~10마리의 새끼를 낳고 그 새끼가 다시 새끼를 낳기까지 9주밖에 걸리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렇게 빠른 번식력을 보여주는 덕분에 약을 먹었을 때 후손에게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지를 빠르게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생쥐를 실험동물로 많이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인간 유전자와의 유사성 때문입니다. 생쥐는 인간처럼 약 3만 개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데, 이 중 약 80%가 인간의 유전자와 상동성을, 19%는 높은 유사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유사성이 없는 유전자는 1% 미만에 불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