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검소한오징어74
검소한오징어7423.07.25

인도에서 대다수를 차지하는 힌두교의 기원과 특징은 무엇인가요?

요즘 인도에 관심이 많습니다. 여러종교 중에서 힌두교를 많이 믿는다고 하는데 힌두교는 어떻게 만들어졌고 그 종교의 특징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힌두교를 다른 말로 인도교(印度敎)라고도 한다. 힌두교를 범인 도교라 함은 무슨 이유일까?


    그것은 ‘힌두(Hindū)’라는 말 자체가 인더스강에 대한 산스크리트어의 이름 ‘신두(Sindhu)’1)에서 유래한 것으로, 인도와 똑같은 어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기원전 2500년 무렵의 인더스 문명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아리안족의 침입(기원전 2000~기원전 1500년?) 이후 형성된 브라만교를 포함하기도 한다.


    그러나 좁은 의미로는 아리안 계통의 브라만교가 인도 토착의 민간신앙과 융합하고, 불교 등의 영향을 받으면서 기원후 300년경부터 종교학파의 모습을 갖추며 현대 인도인의 신앙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같이 오랜 세월에 걸쳐 형성되었기 때문에 힌두교는 어느 특정한 교조와 체계를 갖고 있지 않으며, 다양한 신화 · 성전(聖典)2) · 전설 · 의례 · 제도 · 관습을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다양성을 통일하여 하나의 종교로서 구체적인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카스트 제도다.

    그 기원은 브라만에 규정된 사성(四姓)3)제도지만, 역사적으로 다양하게 바뀌어 현대의 카스트 제도에는 종족 · 직업 · 종교적인 여러 가지 조건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따라서 인도 사람들의 종교와 사회생활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인도 사람들은 힌두교로 태어난다고 일컬어지며, 카스트 제도에는 엄격하지만 신앙에 대해서만큼은 상당히 관대한 편이다.


    그렇다면 힌두교와 고대 브라만교와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브라만교가 《베다》에 근거를 두며 희생제를 중심으로 신전이나 신상(神像)없이 자연신을 숭배하는 데 비해, 힌두교에서는 신전 및 신상이 예배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인격신(人格神)4)이 믿어진다는 점이다.


    또한 공희(供犧)5)를 반대해 육식이 금지되고 있다.


    힌두교의 근본 경전은 《베다》 《우파니샤드》이며, 그 외에도 《브라마나》 《수트라》 등의 문헌이 있는데, 이 모든 것들은 인도의 종교적 · 사회적 이념의 원천이 된다.


    힌두교도는 무엇보다 《베다》에 대해 절대적인 권위를 인정하는데, 이를 첫째 성전(聖典)6)이라 부른다.


    그리고 이것은 신이 만든 것도 인간이 만든 것도 아니며, 성선(聖仙)이 신비적 영감을 체험하고 직접 계시를 받아 만든 것이라고 한다.


    힌두교는 브라만교로부터 신에 대한 많은 관점과 신화를 계승하고 있기 때문에, 언뜻 보면 다신교 같아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신들의 배후에 유일한 최고의 존재자를 설정하고 그 여러 신들이란 결국 하나의 최고신이 나타난 모습이라 주장하여 교묘히 하나로 통일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일신교의 형태를 취한다.


    《푸라나》 문헌에 나타나는 트리무르티(三神一體)7)가 그 좋은 예일 것이다.

    이 교리는 기원에 속하는 창조신으로서의 브라흐마(Brahma), 유지해주는 신으로서의 비슈누(Visnu), 그리고 파괴하는 신으로서의 시바(Śiva), 이 세 가지 신을 하나의 몸으로 통일하여 최고의 실재 원리로 삼는다.


    그 가운데 비슈누와 시바를 숭배하는 사람들이 힌두교의 대종파를 형성했다.

    그런데 그 가운데에서도 비슈누파는 학문적 성격이 강한 데다 비교적 사회의 상층부가 속해 있다.


    여기에서 비슈누는 인간과 동물의 모습을 띠고 이 땅에 나타난다고 믿어지며, 비슈누의 10권화(權化)8) 가운데 라마(Rama)와 크리슈나(Krsna)는 2대 서사시의 영웅이라 한다.


    이에 따라 비슈누파는 라마파와 크리슈나파로 나뉘었다.


    이러한 비슈누파에 비해 시바파9)는 사회 하층부에 세력이 분포되어 있으며, 수행자의 고행 및 주술, 열광적인 제사의례가 특색이다.


    또한 인도에서는 옛날부터 신비(神妃) 숭배가 성행하여 브라마에게는 시라스바티(辯才天), 비슈누에게는 라크슈미(Laksmī)가 배우자 여신으로 간주되며, 시바신의 배우 여신으로는 두르가 · 파르바티 · 우마 · 칼리 같은 많은 이름들이 있다.


    이들 여신을 샤크티(여성적 창조력)라고 하며, 이들을 숭배하는 샤크티파(Shaktism)도 있다.

    힌두교의 특징적인 사상은 윤회와 업(業), 해탈의 길, 그리고 도덕적 행위를 중시하는 것과 경건한 신앙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윤회와 업 사상은 민간신앙 가운데서 받아들인 것으로 이미 《우파니샤드》에 나타나 있으며 《마하바라타》에 이르러 특별히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사상은 인도 사람들의 도덕관념을 키워왔지만, 한편으로는 사람들의 마음속에 숙명론을 심어줌으로써 사회 발전을 가로막는 한 요인이 되기도 했다.


    또한 인간의 사후(死後) 운명에 대해서도 깊은 성찰이 있었다. 신들도 업의 속박에서 벗어나는 것은 힘에 벅찰 만큼 곤란한 일이었다.


    그러한 속박에서 벗어나 해탈하는 방법으로서, 집을 나와 아무 데나 흘러 다니는 생활과 고행, 또는 요가가 가르쳐졌다.


    여기에서 고행은 주로 육체를 단련하는 일이며, 요가는 정신의 통일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었다.


    힌두교 사회에서 도덕관념의 기초는 브라만교의 법전에 규정되어 있는 달마(법 · 의무)다.


    사성 제도와 사생활기(四生活期)10)가 그 중심으로서, 자기가 소속되어 있는 카스트의 규정에 따를 것이 강조되었다.


    최고신에 대한 믿음과 사랑(바크티, 信愛)과 은총은 능력 · 성별 · 직업 · 계급에 관계없이 일반 민중들의 구제를 위해 가르쳐진 것이다.


    또한 힌두교는 이슬람교 및 그리스도교와 접촉하여 여러 가지 영향을 받았는데, 이로 인해 근세에는 브라마 사마즈(1828), 아리아 사마즈(1875) 등의 종교개혁운동이 일어났다.


    특히 비베카난다(Vivekānanda, 1863~1902)에 의한 라마크리슈나(Ramakrishna) 교단은 모든 종교가 하나로 귀일(歸一)한다는 보편주의적 종교관을 보여주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많은 신자를 가지고 있다.


    기독교나 이슬람교는 인간이나 우주를 피조물로 보고 창조주를 외부에 두고 있는 반면, 힌두교는 인간이나 우주를 피조물로 보면서도 창조주를 내부에 둔다.


    힌두교에서는 인간이 죽어서 무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업에 따라 내세에서 다시 새로운 육체를 얻는다고 본다.


    불교에서의 윤회란 각각의 자아가 수많은 조건들을 만나 서로 의존하고 연결되어 새로 형성된다고 보지만, 힌두교에서의 윤회란 특정한 자아가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형태(아트만)라고 말한다.

    출처 : 청소년을 위한 동양철학사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힌두교의 발생은 고대 인도의 종교 사상인 베다와 인도 신화에서 비롯하며, 베다 사상은 기원전 1500년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베다는 종교로서 그리고 글로서 오늘날 남겨진 문학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고 합니다. 힌두교는 굽타 왕조시대에 와서 서민 생활에 밀착된 힌두교로 발전해 나갔습니다. 힌두교의 기본사상은 인과율에 의한 윤회전생, 즉 선인선과 악인악과라는 카르마의 법칙에 있고 인도 인구의 약 80& 정도가 힌두교 신자 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힌두교는 특정한 교조에 의해서 창시된 것이 아니라, 인도지역에서 자연스럽게 태어난 것입니다. 힌두교를 의미하는 적당한 말이 인도의 언어에 없습니다. 사실이 시사하듯이, 힌두교는 개인 개인에 의해서 의식된 신앙 체계라기보다는, 오히려 종교적인 관념이나 의례와 융합된 사회관습적 성격을 다분히 가지고 있는데 입신이나 개종에 의해서 힌두 교도가 된 것은 아니며, 힌두 교도의 자식으로서 태어나는 것이 바로 힌두 교도의 자격을 얻는 것이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힌두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기원한 다양한 종교 전통들을 포괄하는 낱말이다. 역사적으로, 힌두교는 철기 시대 이래의 인도 종교들의 발달사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이러한 힌두교 역사의 실질적인 출발점이 되는 철기 시대 인도의 베다 종교, 즉 브라만교는 그 기원이 청동기 시대 인더스 문명의 종교와 같은 선사시대 종교에 있다.

    '힌두(Hindū)'라는 이름은 산스크리트어로 '거대한 물'을 가리키는 단어인 '신두(Sindhu)'에서 유래했다. '거대한 물'이란 '바다'나 '큰 강'을 가리키는데 여기서는 '신두'가 가리키는 '큰 강'은 바로 4대 문명의 발상지 중 하나인 인더스 강이다.

    힌두교는 여러 신들의 존재를 부정하지 않는 다신교적 일신교(택일신교 또는 일신숭배)로서, 교주(敎主) 즉 특정한 종교적 창시자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힌두교의 기본 교의는 우주의 법칙과 인간의 윤회를 근간으로 한다. 힌두교의 교의를 이루는 기본 개념들은 대부분 이후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 등 인도에서 발원한 다른 종교에 도입되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힌두교는 신두라는 이름에서 왔는데, 이게 인더스 강의 산스크리스트인의 페르시아 발음입니다. 결국 인디아같이 인도를 말하는 것으로 힌두교는 인도의 종교를 뜻합니다. 그래서 사전적으로는 인도에서 발생한 모든 종교 불교, 바라문교 자이나교를 다 포함하는데 일반적으로는 베다를 인정하지 않는 불교와 자이나교는 뺀 것을 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베다는 고대 인도의 종교지식 및 규정이 적혀 있는 문헌입니다.

    힌두교의 가장 큰 특징은 타 종교에 대해 관대하다는 것입니다. 중앙집권적이지 않고 위계가 없고 오랜 시간동안 다양한 신앙형태가 섞인 것이라 볼수 있습니다. 물신, 정령도 숭배하고 주술도 있고 제식도 있고 등등 다양합니다. 그래서 인도의 문화 사회라고도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