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더본코리아의 상장가는 어떻게 정해진 것인가요?

최근 더본코리아가 코스피에 상장을 하면서 상당히 많은 관심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그 이유는 대표가 사회적으로 인지도가 있는 사람이라는 것도 포함되어 있었을 건데요

상장가를 보니 제 기준에서는 생각보다 높은 가격으로 상장되었다는 느낌이 들더라구요

더본코리아의 현재 가격이 46000원대인데

상장가는 더본코리아의 어떤 지표들을 기준으로 책정된 것이라 할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기관 수요 예측 등을 통해 적정 공모가를 산정한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상장 이전부터 고평가 논란이 있긴 했으며 상장 당일 주가가 오르며 이런 논란이 수그러들긴 했지만, 현재 주가가 다시 떨어져서 논란이 불거지고 있는 상황이긴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호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더본코리아의 상장가는 기업공개(IPO) 과정에서 정해졌으며, 이는 주로 회사의 재무 지표와 시장의 수요를 기반으로 결정됩니다. 먼저, 상장 주관사는 더본코리아의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등 주요 재무 지표를 분석하여 기업가치를 산정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PER(주가수익비율)과 같은 평가 지표를 동종 업계 상장사들과 비교해 적정 가치를 도출합니다. 이후,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 과정을 통해 투자자들의 관심과 가격 수용도를 평가하며, 이를 바탕으로 공모가가 최종 결정됩니다. 더본코리아는 대중적인 인지도와 외식업 강자로서의 시장 점유율을 갖춘 만큼,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과 대표의 브랜드 파워도 상장가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상장을 할 때 기준이 되는 가격을 정합니다. 보통 유사 기업들의 피이알을 고려해서 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평균적인 피이알 지표를 구하고 나서 더본 코리아의 수익성을 고려에서 예상되는 고목과 밴드를 정합니다. 그 뒤에 기관들의 청약을 받은 뒤에 기관들 정약 흥행 여부를 고려해서 밴드 내에서 정하거나 또는 밴드 상단을 초과해서 결정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더본코리아의 상장가 책정은 여러 재무 지표와 시장 상황, 그리고 기업의 성장 잠재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졌습니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수익성, 성장성, 브랜드 가치, 시장점유율, 기관 투자자의 수요 등을 평가합니다.

    브랜드가치로 볼 때 백종원이라는 유명 인사가 대표인점, 본가, 새마을식당등 잘 알려진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기관투자자 수요의 경우에도 수요예측 과정에서 기관투자자들이 제시한 가격이 중요한 기준이 되었는데 실제로 기관투자자들의 98%가 희망공모가 상단인 2만8000원 이상을 제시했습니다.

    다만 더본코리아의 주의할 점은, 상장 직후 주가는 변동성이 클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미 충분히 알려진 내용입니다.)

    기관투자자들의 87.8%가 의무보유 확약을 하지 않아 상장 직후 매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단기적으로 주가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더본코리아의 상장가는 재무적 성과, 브랜드 가치, 시장에서의 위치, 그리고 미래 성장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책정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주가가 46,000원대라는 것은 시장에서 이 기업의 가치를 더 높게 평가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