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26

끌어당김의 법칙같은 것이 과학적으로 가능한건가요?

유인력의 법칙. 끌어당김의 법칙. R=VD등의 이름으로 불리는 것이 있습니다.

상상을 생생하게 하면 우주가 이루어진다는 등의 내용이죠.

이러한 것이 정말 과학적으로 증명이 가능한 걸까요?

그렇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아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활달한파리매77
    활달한파리매7723.08.26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끌어당김의 법칙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이 현실이 된다는 주장입니다. 즉, 우리가 긍정적인 생각을 하면 긍정적인 일이 일어나고, 부정적인 생각을 하면 부정적인 일이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끌어당김의 법칙은 과학적으로 입증된 바는 없습니다. 그러나, 긍정적인 생각을 하면 삶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는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긍정적인 생각을 한 사람들은 부정적인 생각을 한 사람들에 비해 우울증, 불안, 스트레스의 위험이 낮고, 행복과 만족도가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또한, 긍정적인 생각을 한 사람들은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이 높고, 성공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따라서, 끌어당김의 법칙이 과학적으로 입증된 것은 아니지만, 긍정적인 생각을 하면 삶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은 과학적으로 근거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유인력의 법칙은 아이작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입니다. 이 법칙은 "물체 사이의 질량에 비례하여 물체 간의 인력이 작용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간단히 말하면, 질량이 있는 모든 물체들은 서로에게 인력을 행사하며, 이 인력은 질량과 거리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법칙은 뉴턴이 17세기에 제시한 것으로서, 많은 실험적 증거와 관측 결과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은 그 후로도 많은 실험과 관측에 의해 검증되어왔으며, 우리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물리적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중요한 원리 중 하나입니다.

    우주의 현상이 유인력의 법칙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는 주장은 기초 물리 법칙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우주의 크기와 복잡성 때문에 모든 상황을 정확히 예측하거나 이해하는 것은 어렵지만, 유인력의 법칙은 우주의 구조와 운동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유의할 점은, 유인력의 법칙이 우주의 모든 현상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뉴턴의 법칙보다 상대성 이론과 양자역학 같은 더 높은 수준의 이론이 요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유인력의 법칙은 중력만을 다루는 것으로, 우주의 모든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것은 아닙니다.

    결론적으로, 유인력의 법칙은 실험적으로 검증되어 온 중요한 물리 법칙 중 하나이지만, 현대 물리학에서는 더 복잡한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이론과 개념이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R=VD라는 식은 보통 우주 확장률을 설명하는 허블의 법칙에서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R은 감시자와 은하 사이의 거리, V는 은하가 우리로부터 멀어지고 있는 속도, D는 허블 상수입니다. 이 식 역시 우주가 확장하고 있다는 사실을 지원하는 강인한 증거로 인정받아 왔습니다.

    "상상을 생생하게 하면 우주가 이루어진다"라는 주장 역시 "유인력의 법칙"과 연관된 개념일 가능성이 있지만, 현재까지 이것에 대한 과학적 증거나 지원되는 연구 결과를 찾아볼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유인력의 법칙은 뉴턴의 법칙 중 하나로, 두 물체 사이에는 질량과 거리에 의존하는 인력이 작용한다는 원리입니다. 이 법칙은 물체의 운동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뉴턴의 법칙은 많은 실험과 관측 결과를 통해 검증되었으며, 현대 물리학에서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습니다.

    R=VD는 처음 봤습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