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청초한매미177
청초한매미17723.03.12

복도를 거닐때 좌측 통행에서 왜 우측통행으로 변경되었나요?

90년대까지만해도 복도나 좁은 길을 걸어갈 때 좌측통행 하라고 배워왔던 것 같아요. 그런데 2000년대부터는 우측통행하라고 그러던데, 왜 변경이 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12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그 이유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서인데 통행시 도로위의 자동차와 마주보며 걷게 되므로 돌발 상황을 피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또한 횡단보도 위에서도 정지선을 넘어오는 차량과 어느정도 거리를 확보할 수있기 때문에 우측통행을 하게 되는것입니다.

    또 편의성 때뫈이기도 합니다. 먼저 대부분의 사람들이 오른손잡이기 때문에 오른손에 짐을 많이 들고 다니는데 짐끼리 부딪히는 것을 줄일 수 있습니다.

    회전문과 공항게이트 등의 시설이 우측통행을 전제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좌측통행을 하다가는 충돌이 발생할 수있기 때문이지요.


  • 우리나라는 원래부터 우측통행을 하다가 일제강점기 때에 좌측통행으로 바뀌어서

    사람은 좌측통행, 차량은 우측통행을 고수하여 왔습니다.

    역사적으로 조선조의 종묘 제례도 우측통행이며,

    왕실과 국가의 행사를 그림으로 정리한 의궤에서도

    우측통행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다가 일제시대 1921년에 조선총독부령 제142호에서

    사람과 자동차 모두 좌측통행을 하도록 하였습니다.

    해방후 차량은 우측통행, 보행자는 좌측통행을 하도록 규정하였습니다.

    또다시 보행자의 편의를 위하여 2009년에 도로교통법을 개정하고

    이듬해부터 자동차와 보행자 모두 우측으로 통행하도록 하였습니다.

    오른손에 짐을 든 보행자들이 우측통행을 하면서

    왕래하면 짐들이 보행자의 바깥쪽에 있어서 충돌할 우려가 적습니다.

    또한 횡단보도에서도 보행자가 우측통행을 하면

    좌측 전방에서 오는 차량과 멀리 떨어져 있게 되어 안전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지하철등 대부분 우측 통행으로 바뀌었습니다 서울 1호선빼놓구요.

    우측통행이 안전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편안하구요

    좌측통행은 일본에서 비롯되었는데 관습법에 의하여 죄측으로 통행하였다가 현제는 법이 바뀌어 우측 통행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현재 디자인 스튜디오를 운영하고있으며 해당 질문에 대해서 생각해보면 보신 건물의 건축상의 동선문제에 대한 해결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폐사에서 작업하는 선박의 Corridor에서는 동선에 방향에대한 구분이 없으며, 아울러 건축법과 소방법상 좌우측을 제한하는 동선에 대한 강제성은 없습니다.

    다만, 아이들이나 주의가 필요한 사람이 이용하거나, 핸드레일을 요하는 장애우가 이용하는 구역의 경우 이용자 간의 임계거리가 필요하여 동선을 분리하기 위해 최소한으로 분리시킨 경우라면 서두에 말씀드린 '해결책'으로서 제시한 방법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제 강점기를 거치며 일본에 의해 좌측통행을 하다, 후에 미국의 영향을 받아 우측통행을 시행하였으나 이는 차량에만 적용되어 2010년까지 차량은 우측통행, 보행자는 좌측통행을 하게되었습니다.

    우측통행으로 바뀐 이유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서이며 통행시 도로 위의 자동차와 마주보며 걷게 되므로 돌발 상황을 피하기 쉽기 때문이며, 횡단보도 위에서도 정지선을 넘어오는 차량과 어느정도 거리를 확보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 편의성 때문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오른손잡이이기 때문에 오른손에 짐을 많이 들고 다니는데, 짐끼리

    부딪히는 것을 줄일수 있기 때문이며, 회전문과 공항 게이트 등의 시설이 우측통행을 전제로 설계되어 좌측통행을 하다가 충돌이 발생할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안전 때문이다. 차를 마주 보고 걷는 게 차와 같은 방향으로 걷는 것보다 훨씬 안전하다. 마주 오는 차는 피할 수 있지만 뒤에서 오는 차량은 피할 수 없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운전석이 왼쪽에 있고, 승객을 오른쪽으로 태우기 위해 도로의 우측으로 통행해야 한다. 사람들도 우측 통행하는 차를 마주 보기 위해 우측 통행을 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왜 2009년 전까지는 좌측 통행을 했을까. 슬픈 식민지 잔재다. 일본은 차량 운전석이 왼쪽에 있다. 메이지유신을 거치면서 영국의 제도를 도입하다 보니 많은 영연방 국가와 마찬가지로 우측 운전석을 채택했다. 차가 좌측으로 다니기 때문에 사람들도 좌측으로 다니는 것이 안전하다. 그런 일본의 제도가 일제강점기에 도입돼 좌측 통행이 보편이 됐다. 해방 이후 미군정기에는 좌측 운전석인 미국 차가 보편화돼 차는 우측으로 다니게 됐지만 사람은 계속 좌측으로 통행하게 된 것이다.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6229DM0P9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초등학교 때는 항상 사람은 좌측 통행 차는 우측 통행 이라는 말을 많이 들었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일본의 보행 문화입니다. 일본의 경우에는 자동차나 사람들이 모두 왼쪽으로 다니죠. 우리와는 반대입니다. 운전석도 왼쪽이 아닌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도 좌측통행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사람이 일본에 가서 처음에 운전하기 힘들어하는 이유가 이러한 운전석의 위치와 좌측통행 때문입니다. 반면에 우측 통행은 맞은 편에서 달려오는 차량을 바로 볼 수 있고, 횡단보도에 진입하는 차량과도 거리를 유지할 수 있어 교통사고의 약 20%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우측 통행으로 바뀐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 좌측통행은 영국을 비롯한 일부 국가에서 사용되는 교통규칙이며, 우측통행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사용되는 교통규칙입니다.

    과거 한국은 일본 식민지 시절에 일본의 교통규칙을 받아들였기 때문에 좌측통행을 채택했습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국제적인 교통안전 관련 제도와 규제가 강화되면서 대부분의 국가들이 우측통행으로 바꾸기 시작했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국제적 통일성 확보: 대부분의 국가에서 우측통행을 사용하고 있어서, 좌측통행을 사용하면 외국인들이 혼란스러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측통행으로 바꾸면 국제적인 통일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둘째, 교통안전 증진: 우측통행은 좌측통행보다 교통안전에 더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측통행은 좌회전 시 좌측으로 회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시야가 개방되어 좀 더 안전합니다.

    셋째, 기술 발전: 교통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교통흐름을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좌측통행에서는 지하철 출구와 같은 특정 지점에서 인파가 모여 교통 체증이 발생하기 쉽지만, 우측통행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국제적인 통일성과 교통안전 증진 등의 이유로 대부분의 국가들이 우측통행을 채택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한국도 1990년대 후반부터 우측통행으로 전환하게 되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