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량에서 감전사고가 있었다던데 정말일까요??
전기차에 감전된 사례가 있다고 하는데 정말일까요??
사고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와 감전 사고예방을 위한 실험도 많이 했을텐데요..
전기차뿐만 아니라, 전기를 주 에너지원으로 하는 제품들 모두 감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무리 안전검사를 거쳤다고 해도, 전기 및 전자 소자들은 일회성 부품들이 많기 때문에 그것들이 손상되면 제 기능을 못해서 합선 및 감전 사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기차 설계시 외부적으로나 내부적으로 절연이 되어 있어서 이슈가 발생되지 않으면 감전이 되지 않습니다. 감전이 되는것은 외부 손상이나 사고로 인해서 내부의 전기 배선이 벗겨지거나해서 문제가 되거나 하면 발생될수 있고 또한 방수도 되어 있지만 어떤 문제로 인해서 물에 의해서 감전되거나 할수 있습니다. 특별한 상황이 아니면 감전 되는 일은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전기 자동차로 인한 감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낮지만 만일 자동차의 절연 제대로 되지않았다면 감전이 발생 할 수 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감전 사고는 교통사고나 정비중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기차가 워낙 고전압을 쓰기 때문에 감전된다는 얘기가 돌긴 하지만, 실제로는 안전장치들이 잘 갖춰져 있습니다. 감전사고는 거의 없을 것입니다. 만약 차가 충돌하면 자동으로 전원을 끊거나, 누전 시 이를 감지하는 시스템들도 들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타다가 감전될 일은 극히 드물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재화 전문가입니다.
전기차는 수백 볼트 이상의 고전압 배터리를 사용합니다. 그래서 감전 위험이 있는 것이죠. 실제 차량에는 절연과 관련된 시설과 누전 차단기, 충동 시 자동 전원 차단 시스템 등 안전장치들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감전 사고는 드물 것 같고, 혹시 차박이나 기타 전기차에서 전기를 사용하다가 사고가 난 것은 아닐지 모르겠네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전문가입니다.
안전사고의 경우 언제 ㅇ떻게 일어날지 모르는 것입니다. 다만 다행히도 감전사고로 인한 뉴스 보도 등이 아직 나오지 않은 것입니다. 다만 전기차의 경우 또는 전기화재의 경우 한번 화재가 발생하게 된다면 일반화재나 유류화재 등 보다 화재에 대한 진압이 어려운 점이 있어, 보다 조심스럽게 사용해야 합니다. 가령 외부의 충격에 민감하고, 열에 민감하기 떄문에 이러한 부분에 대한 조심을 하는 것이 좋죠.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네 사실입니다.
실제로는 매우 드물지만 전기차 감전 사고는 완전히 배제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안전잔치와 관리로 사고 발생 확률은 매우 낮다고 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실제로 전기차 감전 사례가 있다고 합니다.
2024년 4월 국내에서는 사고 차량 견인을 위해 작업하던 견인 기사가 전기차 시동 스위치에 손을 대 감전되어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같은 해 5월에는 중국에서 BYD 전기차 운전자가 출고 한 달도 안 되어 차 안에서 감전되는 사고가 발생하여 혼수상태에 빠졌다고 하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