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6

스프레이는 액체인데 어떻게 기체로 나오는건가요

안년하세요 스프레이는 흔들어보면 액체인데 버튼을 누르면 가스형태에 기체가 분사됩니다

어떻게 액체가 기체가 되는걸까요

원리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5.16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스프레이는 일반적으로 압축된 가스나 공기를 사용하여, 액체를 분사합니다. 스프레이 병 내부에는 압력이 가해진 가스나 공기가 채워져 있으며, 스프레이 버튼을 누르면 병 내부의 가스나 공기가 일시적으로 팽창하여 액체를 분사합니다.

    액체가 기체로 변환되는 것은 스프레이 병 내부에서 일어나는 과정입니다. 스프레이 병 내부의 가스나 공기는 병 안쪽에서 액체를 밀어내며, 이 때 액체는 작은 입자로 분해되어 기체와 혼합됩니다. 이 과정에서 액체 입자 간의 결합력이 약해지고, 스프레이 병 내부에서 액체가 기체로 변환됩니다. 이렇게 변환된 액체는 스프레이 병 안쪽에서 가스나 공기와 혼합되어 분사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일회용 가스라이터를 예를 들자면..

    플라스틱 가스라이터에는 부탄가스를 사용하는데...투명한 플라스틱을 흔들어보면 분명히 액체지만 라이터를 켤때는 가스화되어

    부싯돌의 점화에 의해 불이 붙죠..

    이는, 부탄가스는 -1'C가 넘어가면 기체로 존재하고, 그 이하에서부터 -140'C까지는 액체로 존재합니다. 압력을 가해주면 그 이상의온도에서도 액체로 존해하는데..연료로 부탄을 사용하는 이유도 압력을 가하면 상온에서도 액화될 수 있기 때문이며..

    가스라이터의 내부 압력을 높혀서 상온에서 액화시켜준 것이고..이것이 분사구를 통해 밖으로 분출될때는 압력이 다시 정상압력으로 떨어져서 기체로 변하면서 부싯돌에 의해 불이 붙는 원리죠..

    결국, 압력만 잘 조정하면 부탄을 액체상태로 바꿀수 있답니다..

    도움 되셨기를...^^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스프레이에는 분무 장치가 있어서 액체를 작은 입자로 분산시킵니다. 분무 장치는 일반적으로 압력을 가해 액체를 작은 물방울 또는 입자로 분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액체가 분무되면서 작은 입자는 대기 중에 퍼지고 표면적인 면적이 증가하며, 이로 인해 증발이 가속화되어 기체 상태로 전환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