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말끔한할미새85
말끔한할미새85

번개도 결국은 마찰전기와 비슷하게 전자가 한곳에 모여서 움직인다고 하는데요. 근데 공기중에 습기가 있는데 왜 번개가 치는 건가요?? 마찰전기는 습기가 있으면 이동해서 발생되지 않는데요

번개도 결국은 마찰전기와 비슷하게 전자가 한곳에 모여서 움직인다고 하는데요. 근데 공기중에 습기가 있는데 왜 번개가 치는 건가요?? 마찰전기는 습기가 있으면 이동해서 발생되지 않는데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공기중에 습기가 있으면 마찰전기의 경우 전자가 그 습기로 이동되면서 정전기가 발생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번개의 경우 너무 많은 전자가 있어서 습기만으로는 다 이동을 못해서 순간적으로 이동가능한 물체가 있으면 번개로 내려치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번개는 공기 중의 수증기보다는 구름 내부의 물방울과 얼음 알갱이들이 서로 마찰하면서 전하가 분리되고 축적되어 발생합니다. 그리고 발생전압이 매우 높기때문에 습기가 있음을 무시할수 있는 정도인거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마찰전기는 습기가 있으면 전하가 쉽게 이동하기에 전하가 축적되기 어렵지만 번개는 구름 내의 거대한 대기 조건에서

    전하가 분리되고 축적되어 방전이 일어납니다. 따라서 번개는 구름 내에서 전하가 분리된 후 공기 중 방전 현상으로 습기가 있어도 발생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번개는 마찰전기와는 조금 달리 대기 중의 수증기와 이온화된 공기 덕분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구름 속에서 강한 전기적 차이가 생기면 이온화된 공기와 습기가 전자를 빠르게 이동시키면서 방전이 일어난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일상적인 마찰전기는 작은 전하가 표면에 쌓이는현상이라 공기 중 습기가 높으면 전하가 쉽게 흩어져 잘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번개는 거대한 구름 속에서 강하 대류와 온도 차로 인해 수많은 물방울과 얼음 알갱이가 부딪히며 막대한 전하 부리가 일어나기 때문에 습기가 있어도 전압이 극도로 커져 방전이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전문가입니다.

    마찰전기는 물체끼리 마찰로 생기면서 습기에 약한 특징이 있으나 번개의 경우 구름 속에 있는 물 입자간 충돌로 전하가 분리되는데 이 습기로 전기가 더 많이 축적됩니다. 이러한 축적된 전기는 임계점을 넘어서면 방전되면서 번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지요.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하성헌 전문가입니다.

    공기중에서 습기가 높다는 것은 물기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물기나 습기가 많은 것은 전기가 보다 잘 흐를 수 있도록 도아준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마찰전기나 정전기의 경우 이러한 습한날씨보다는 건조한 상황에서 더 잘 발생한다고 볼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습한 날씨에도 번개가 치는 것은 습기로 인한 전하의 발생량 보다 구름을 통해 형성이 되는 전하의 발생량이 단위가 더 크기 떄문에 결국 방전으로 인한 번개가 발생한다고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이 되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