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민상담

기타 고민상담

어쨌든달려가는모래무지
어쨌든달려가는모래무지

소셜미디어 알고리즘은 민주주의를 위협할까?

소셜미디어 알고리즘은 민주주의를 위협할까요? 추천 알고리즘이 극단적 정치 성향을 강화시킨다는 비판이 있는데 플랫폼 책임은 어디까지이며 사용자의 선택은 어느정도 존중되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우리만의자유로운
    우리만의자유로운

    유튜브고 페이스북이고 인스타그램이고 틱톡도 다 똑같이

    사용자가 오래 머무를수록 광고의 수익도 높아지기 때문에

    자극적이고 강한 콘텐츠를 계속 보여줘요

    그래서 보고 싶은 것만 보게 되는 확증편향이 강화되고

    자신의 취향과 시야 안에서만 정보가 순환되는 필터 버블도 일어나죠

    즉, 알고리즘은 좋은 정보가 아니라 더 오래 보게 만들 자극적인 정보를 던지죠

    이거는 정치적 양극화를 부추겨서 합의와 타협을 기반으로 하는 민주주의가 파괴되어용

    그리고 팩트보다 충격적인 이야기가 더 클릭을 부르기에 가짜뉴스나 음모론이 폭증되죠

    추천 알고리즘은 소수 플랫폼 운영자나 광고주가 조절하기 때문에

    정보를 독점하고 여론 통제가 될 수 있으니까

    민주주의에 위험한거예요

    알고리즘이자 시스템 설계 탓이 훨씬 크죠

    그래서 알고리즘은 절대 중립적인 도구라 할 수 없고

    사용자 자유의지는 상당히 제한돼요

    한마디로 말씀드리자면

    알고리즘은 단순 추천 기능이 아니라 정치 성향을 쪼개고 감정을 조작하는

    조용한 독재 도구로 작용한다는 것이에요

  • 다분히 그런 경향이 있는것 같아요.

    좌익이든 우익이든 한쪽으로 편향된 알고리즘이 형성되다보니 매일 접하는것이 편향된 정치성향의 뉴스, 영상들이고 상대진형을 헐뜯기만하지 상대진영의 입장이나 생각을 전혀 알수없도록 하는것 같아요.

  • 소셜미디어 알고리즘은 민주주의에 위협이 됩니다.

    알고리즘의 목적은 민주주의적 균형이나 진실 전달이 아니라 체류시간 극대화와 광고 수익 극대화입니다.

    그러다 보니 사람들이 오래 붙잡히는 자극적인 콘텐츠들 그러니까 극단적, 분열적·선동적 콘텐츠가 과도하게 노출됩니다.

    온건한 글은 조회수 안 나오고, 분노, 혐오, 정치적 극단성은 리트윗, 좋아요, 댓글이 폭발적으로 올라갑니다.

    알고리즘은 그걸 최적화하구요.

    플랫폼 책임은 당연히 큽니다.

    스스로 만든 추천 시스템이 집단의 정보 소비 구조를 비틀어버렸는데 우린 기술일 뿐이라는 말은 변명입니다.

    사실상 여론 조작과 다를 바 없죠.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