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단성론파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기독교는 여러개로 종파로 나뉘는데 그중에 단성론파라는 생소한 종파도 있더라구요.
단성론파는 무엇을 중요시 했는지 궁금하고, 지금도 남아 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양성론과 단성론을 비교 해 보면 양성론이란 예수님께는 신성(神性)과 인성(人性)이 병존하시나 두 형상은 오직 한 분 하나님의 품성이라는 것 입니다. 반면에 단성론이란 하나님은 유일하시다, 또는 예수는 사람이실 뿐 하나님이시지 않다 라고 하여, 범 단성론을 형성하는데 이는 유대교, 이슬람, 기독교의 아리우스주의가 그 대표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단성론 기독교는 오늘의 의미로는 율법주의자들의 형식과 유사하다 할 수 있습니다.
기독교에서는 양성론을 정통으로 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성론또는 단성설이란, 기독교에서 그리스도론을 신학적으로 정의할 때 사용되는 용어로서, 육신을 지니고 세상에 나온 예수에게는 단일한 성질(나투라)만이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어원은 그리스어로 '하나'를 의미하는 '모노(mono)'와 '본성'을 의미하는 '피시스(Physis)'라는 말이 합쳐진 것입니다. 가톨릭교회에서는 칼케돈 공의회를 통해 그리스도(예수)는 신성과 인성을 모두 가지되 두 본질이 분리되지 않고 조화를 이룬다는 양성론이 정통 교리로 확정됨에 따라 부인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그리스도론을 둘러싼 논쟁에서 5세기 전반에 나타나, 정치적으로 이용되어서 비잔틴제국의 동방(이집트, 시리아)의 이반을 촉진한 신학설. 영어로는 mono-physitism. <그리스도 단성론>이라고도 한다. 단성론의 극단적인 형태는 제창자라고도 할 수 있는 콘스탄티노플의 에우티케스에 의하면, 그리스도는 육화(肉化) 전에는 신성(神性)과 인성(人性)의 양성을 가지는데, 육화 후에는 유일한 본성밖에 없는, 즉 인성은 신성에 흡수된다는 입장이다. 단성론의 배경으로서 알렉산드리아의 시릴로에 이르기까지의 알렉산드리아 학파의 신학이 그리스도의 완전한 인성을 무시해서도 <육화한 로고스의 유일한 본성>을 중시하는, 환언하면 그리스도를 어디까지나 신으로 생각하고자하는 경향을 가지는 것에 있으며 에우티케스가 이단시되자, 알렉산드리아 주교 디오스코로스가 반격을 가해서 에베소의 <도적교회회의>(449)에서 단성론의 승리를 선언했다. 이에 대해서 로마주교 레오 1세는 콘스탄티노플 교회와 결합해서 칼케돈(㉮ 칼체돈) 공의회(451)를 열고, 에베소 회의의 결의를 취소하고, 그리스도 양성의 완전한 결합을 정하고(<칼케돈 신조>), 단성론을 이단으로 하였다. 디오스코로스는 추방되었지만, 이집트교회는 <칼케돈 신조>를 네스토리우스적 편향으로 해석해서 조금씩 분리를 시작했다.
그후 약 1세기 동안에 단성론은 동방의 민족주의적 경향과 결합, 유력한 신학설 및 정치 이데올로기가 되었다. 그 당시의 단성론은 에우티케스의 극단적인 가르침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완전한 인성을 인정하면서도 그것이 신성과 결합하면 <유일한 본성>이 되는 것에 그치고 있다. 덧붙여서 시리아의 단성론파의 지도자 안티오키아의 세웰스(세베로스)는 매우 신중한 표현을 이용하고 있다. 5~7세기의 비잔틴 황제의 단성론파 융화책, 즉 동방 만류책은 결과적으로 모두 실패하고, 동방은 7세기 중엽부터 이슬람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그러나 단성론파 교회는 이집트의 콥트교회와 시리아의 야곱파 교회에서조차 통일되지 못하고, 결국 이슬람 지배하에서 점차로 아랍화해서 쇠퇴하였다. 현존하는 주된 단성론파 교회는 위에서 기술한 것 외에 에티오피아 교회, 아르메니아 교회 등이다.
출처 : 종교학대사전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성론(單性論, 영어: Monophysitism) 또는 단성설 (單性說) 이란, 기독교에서 그리스도론을 신학적으로 정의할 때 사용되는 용어로서, 육신을 지니고 세상에 나온 예수에게는 단일한 성질(나투라)만이 존재한다는 뜻이다. 어원은 그리스어로 '하나'를 의미하는 '모노(mono)'와 '본성'을 의미하는 '피시스(Physis)'라는 말이 합쳐진 것이다. 가톨릭교회에서는 칼케돈 공의회를 통해 그리스도(예수)는 신성과 인성을 모두 가지되 두 본질이 분리되지 않고 조화를 이룬다는 양성론이 정통 교리로 확정됨에 따라 부인되었다.
출처:위키백과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