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좌진 장군의 역사적으로 무슨 기록을 이루었는지 궁금해요.
김두한의 할아버지인지 아버지인지 족보가 어떻게 되는지 모르겠는데요. 김좌진 장군은 어떤 전투에서 활약을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좌진의 생애는 다음과 같습니다.
1889년 12월 16일 충청도 홍주목 고남하도면 행촌리(현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면 행산리 신기마을)의 명문 양반가에서 아버지 김형규(金衡圭, 1864 ~ 1892. 3. 11)[12]와 어머니 한산 이씨 이상희(1863 ~ 1949. 8. 30)[13] 사이의 3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3살 때 부친을 여의었지만 넉넉한 재산으로 경제적으로 문제는 없었으며 모친으로부터 엄격한 교육을 받으며 성장했다.
형 김경진(金景鎭, 1883. 2. 8 ~ 1963. 5. 13)이 한성부에 거주하는 15촌 지간의 족숙(族叔) 김덕규(金德圭, 1848. 8. 19 ~ 1900. 11. 1)에게 양자로 가면서 집안의 차남인 김좌진 자신이 장남 역할을 했다. 날래고 용맹함이 뛰어나 1905년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에 입학하였다.
1907년 정환덕의 회고에 따르면, 김좌진은 당시 헤이그 특사단을 수행하기 위해 블라디보스토크로 떠났으나, 무슨 일인지 다시 한양으로 돌아왔다고 한다. 이후 대한제국 군대가 강제로 해산되자 나이 17세에 노비들을 해방시키며 전답을 나눠 주고 자신의 집에 호명학교(湖明學校)[16]를 세우는 등 교육 사업도 활발히 펼쳐 노블리스 오블리주의 사례로 꼽힌다.
1911년 서간도 독립운동 기지 건설을 위한 자금을 모집하기 위해 경기도 경성부 돈의동(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돈의동)에 거주하던 9촌 지간의 삼종증조부(三從曾祖父) 김종근(金宗根, 1844. 5. 17 ~ 1925. 12. 18)을 방문했다가, 이미 변절하여 일본 경찰과 내통한 김종근의 뒤통수로 체포되었다. 이 때문에 서대문형무소에 2년 6개월 간 수감되었다.
출옥 후 상경하여 경기도 경성부 재동(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재동)에 거주하였다가, 본디 다른 뜻을 품어 항시 조국 독립의 마음이 있던 그는 1918년 만주에 망명해 의병을 일으켜 대한광복회 부사령관을 맡았다. 대한광복회 와해 후 북간도 지역으로 건너가 북로군정서군을 이끌었으며 청산리 전투(1920년)에서 독립군 연합 부대를 이끄는 등 일본 군대와 교전하여 여러 차례 기이한 공적을 세웠다. 이후 밀산을 거쳐 북으로 이동하다가 다시 남으로 내려왔는데 이 때 북으로 간 군대들은 자유시 참변(1921년)에 휘말려 큰 피해를 입은 탓에 그나마 다행이라는 평도 있다. 이후 1920년대 중후반 북만주 지역의 독립운동을 이끌었다.
자유시 참변을 계기로 반공 노선으로 전향한 김좌진은 참변으로 불모지나 다름없는 만주에서 다시 시작하면서 한족총연합회 주석 등에 임명되는 등 만주의 독립운동 지도자로 활약했다. 1925년 신민부(초기에는 한족연합회),1929년 한족총연합회 등을 창설하고 활동했는데 이 과정에서 공산주의자들을 배제하고 항렬이 같은 아우뻘인 김종진 등 아나키스트들을 받아들였다.
이에 위협을 느낀 공산주의자 박상실에게 길림성 해림현 산시진 도남촌(현 헤이룽장성 하이린시 산스진 다오난촌)에서 1930년 1월 24일 41살의 젊은 나이에 암살됐다.[20] 이 때 "할 일이… 할 일이 너무도 많은 이 때에 내가 죽어야 하다니. 그게 한스러워서…"라는 유언을 남겼다. 김좌진을 살해한 공산당원 박상실은 얼마 안있어 현지 경찰에 체포되었으며 당시 만주는 봉천군벌의 위세가 남아있던 시기였기에 한국인 독립운동가를 죽인 혐의로 사형이 선고된 후에는 봉천으로 이송되어 사형에 처해졌다.고 김좌진씨 하수인 박상실에 사형판결 1947년 서울특별시에서 정식적으로 장례식을 가졌으며 추도사를 김구가 읽었다. 김좌진의 유해는 아내 오숙근이 1937년 봄에 직접 길림성 해림현으로 잠입해 그 백골을 취하여 가져와서 수습한 후 충청남도 홍성군 서부면 이호리 김복한의 묘소 인근에 가명으로 밀장되었다가 1957년 전답을 노비들에게 나눠주면서 어머니의 이름으로 남겨진 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 재정리에 있는 선산에 아들 김두한에 의해 아내 오숙근과 합장되었다. 1999년 '백야 김좌진 장군 기념사업회'가 발족되어 여러 교육 사업 활동을 펼치고 있다.출처: 나무위키 김좌진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좌진은 1920년 9월 부로군의정서의 독립군을 이끌고 청산리, 갑산 등지에서 5만의 일본군을 3번에 걸쳐 반격해 크게 승리했습니다.
당시 일본군은 3개 사단 5만명이었고 이를 청산리 백운평 골짜기에서 매복해 2500명의 북로 군정서군이 승리를 거뒀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박민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좌진 장군은 주로 중국의 동북부 지역,만주 지역에서 활동을 했습니다.
만주 청산리 전투에서 크게 전과를 올렸다는 기록이 유명합니다.
------------------------------------------------------------------------------
1907년 안동에 '호명학교'를 세웠으며, 홍성에 대한협회와 기호흥학회의 지부를
조직해서 애국계몽운동에 앞장섰다.
1909년 안창호 등과 함께 '서북학회'를 세우고, '오성학교'를 설립하였다.
1916년 노백린, 신현대 등과 함께 '광복단'에 가담하였다.
1918년 만주로 건너가서 '대종교'에 입교하고,
'무오독립선언서'에 39명의 한 사람으로 서명하고, '대한정의단'에 가담하였다.
1919년 '정의단'을 '북로군정서'로 개칭하고, 총사령관이 되었다.
1920년 10월 '청산리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그 후 북만주 밀산에 도착하여, '대한독립군단'이 결성되자 부총재로 취임하였다.
1925년 '신민부'를 창설하고 군사부위원장 및 총사령관이 되었다.
1929년 '한국총연합회'의 주석으로 선임되었으나 이듬해 순국하였다.(공산주의자 박상실에 의해)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