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매수했는데 예수금에 있는건 왜 그럴까요?
주린이입니다. 오후 3시쯤 주식을 매수했는데 담날 보니 매수된게 없고 예수금에 있네요. 분명 매수했는데 왜 예수금에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오후 3시에 주식을 매수했는데 다음 날 보니 매수된 게 없고 예수금에 그대로 있다면 그 이유는 매수 주문이 체결되지 않았기 때문일 가능성이 큽니다.
주식은 매도하는 사람과 매수 가격이 맞아야 거래가 성사되는데 매수 가격이 너무 낮게 설정되었거나 시장 상황에 따라 체결이 안 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예수금은 그대로 남아 있고 주문도 완료되지 않은 상태로 남습니다. 다음 날 다시 매수 주문을 시도해 보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주식은 체결일과 결제일이라는게 있습니다. 즉 당일날 주식을 거래하여 매수를 하게되면 주식은 이미 체결은 된 상태지만 실제 대금결제가 이루어진게 아닙니다.
그리고 주식은 전자증권 형태로 증권사가 아닌 예탁결제원에 보관되어있으며 여기 주주명부가 적혀있는데 결제일 이전에는 아직 나의 주주명부로 올라간상태가 아니면 최종 결제일에 내 주주명부로 이관되고 결제일때 주식이 이관되는 구조입니다.
물론 주식을 체결한 체결일에 이미 약속된 자금과 주식이 넘어가기로 약속되어있으므로 이미 결제일 도래하기전까지 거래가 성립되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만 위에 말씀드린대로 각 증권사끼리 대금결제나 이루어져야하고 예탁결제원에 주주명부를 고치거나 여러 전자 사무업등이 잇어서 T+2라는 즉 체결일 이틀뒤에 대금결제가 이루어지고 이로인하여 다음날 보더라도 예수금은 그대로 있는상태로 보이기 됩니다. 다만 D+2되면 예수금이 사라지고 본격적으로 주식이 이관되는 결제일이 이루어집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을 매수하면 예수금에서 해당 금액이 차감됩니다. 이는 주식을 구매하기 위해 사용된 자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주식을 판매하거나 다른 투자에 사용하지 않는 한, 해당 금액은 주식 보유에 사용되어 예수금에서 차감된 채로 유지됩니다. 주식을 매도하면 해당 금액은 다시 예수금으로 반환됩니다. 따라서 주식을 매수하면 예수금에서 해당 금액이 차감되는 것은 정상적인 현상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 매수에 대한 예수금 문제입니다.
증권사에서는 거래를 투자자 대신 해주고
실제 거래가 이뤄지는 곳은 한국 예탁원입니다.
이런 행정적인 문제로 인해서 예수금이 생긴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매수가 안된 것으로 보입니다.
매수가 되었으면 예수금에서 빠져나가서 현재 보유한 주식에 떠야 하는데 여기서 보이지 않으면 매수가 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혹시 모르니 현재 보유중인 종목과 매수현황을 살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시장가가 아니라 지정가로 매수를 걸어두셨으면 해당 가격이 오지 않아 매수가 되지 않았을수도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을 샀는데 돈은 그대로 있다면, 아직 주식이 안 사졌을 가능성이 커요. 원하는 가격에 못 샀거나, 거래 시간이 아니거나, 주문 실수가 있었을 수도 있어요.
증권사 앱에서 주문 내역을 확인하거나 증권사에 문의해서 정확한 이유를 알아보세요!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경우 주식을 매수하였다고 하더라도
가격이 맞지 않는 등 이에 따라서 거래가 체결되지 않았기에
질문자님의 계좌에 예수금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