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이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일상생활에서 블록체인은 어떻게사용되나요?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공공분야에 프라이빗 블록체인 접목을 위해 6개 시범사업을 진행합니다. 관세청, ‘전자상거래물품 개인통관 시범 서비스’  - 과기부와 관세청이 협업한 ‘전자상거래물품 개인통관 시범 서비스’는 전자상거래업체의 주문 정보와 운송업체의 운송 정보를 블록체인에 실시간으로 공유합니다. - 농림축산식품부, ‘블록체인 기반 축산물 이력 관리 시스템 시범사업’ - '블록체인 기반 축산물 이력 관리 시스템 시범사업'은 블록체인과 IoT를 활용한 사업입니다. IoT 디바이스로 수집된 정보를 블록체인에 자동으로 입력하고, 쇠고기 유통 단계별 이력 정보와 증명서를 블록체인에 저장, 공유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입니다. - 국토교통부,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종합공부시스템 시범사업’ - 지금까지는 부동산을 매매하거나 혹은 대출하는 경우 은행, 국세청 등에 종이로 된 부동산 증명서를 제출했습니다. 이 경우 종이 증명서는 위, 변조에 쉽게 노출되기 때문에 범죄에 악용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블록체인 기수을 활용할 시 부동산 정보를 데이터 형식으로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어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증명서를 발급받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도 있습니다.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블록체인 기반 온라인 투표 시스템’ - 중앙선관위는 2013년부터 온라인 투표 시스템 ‘케이보팅(K-voting)’을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온라인 투표는 해킹과 조작의 위험이 있기에 중요성이 큰 선거에는 이용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위, 변조가 어려운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온라인 투표 시스템을 구축한다면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뿐만 아니라 쉽고 간편한 투표 참여로 투표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비용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외교부, ‘블록체인 기반 재외공관 공증 발급체계 구축사업’ - ‘블록체인 기반 재외공관 공증 발급체계 구축사업’은 블록체인상에 공문서의 정보와 인증서를 저장하고 공문서를 전자문서의 형태로 ‘국내기관(은행) – 외교부 – 재외공관 – 해외국가’가 공유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문서의 발급 사실과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사업입니다. - 해양수산부, ‘블록체인 기반 컨테이너 반출입증 통합발급 서비스’ - 타 부두 환적시 필요한 정보를 블록체인상에 저장하여 선사, 운송사, 터미널 간에 공유하고자 하는 사업입니다. 부산항의 환적 규모는 세계 2위에 해당하고, 선박의 화물을 부두에 내린 후 다른 선박에 옮겨 싣고 출항하는 타 부두 환적(ITT)이 전체 물동량의 16%에 달합니다. 해당 시범 사업을 통해 환적 과정을 실시간으로 투명하게 공유하여 업무량과 대기시간을 줄여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됩니다. 
 출처 : https://www.bloter.net/archives/326927- 좋아요 6 
- 제가 기억하기론 수원인가? 거기서 지역화폐를 만들었는데, - 지금은 별다른 소식이 안들리는거 보니 - 출발은 컸으나, 큰성장은 아닌가 보네요 - 암튼 이렇게 지역화폐로도 사용이 되기는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