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소탈한왜가리135
소탈한왜가리13521.04.01

이가 가끔 시린증상이 나타나는데 괜찮나요?

가끔 차가운걸 먹을때 어금니 하나가 시린데 뜨거운걸 먹었을때 통증이 느껴지지않으면 괜찮다는 말을 들었어요. 매일 그런것은 아니고 종종 이가 살짝 시리다가 괜찮다가 하는데 괜찮은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전성화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시린게 가끔 느껴지시는군요.

    겨울에 추울 때 가끔 발목이 뼈까지 시린 느낌이 나는 것과 비슷한 이치로 찬 음료나 얼음을 먹으면 치아가 시릴 수 있습니다.

    찬음식을 먹을 때 잠깐 시린 것 같지만 음식을 삼켰을 때 괜찮아지고 통증이 지속되지 않는다면 큰 문제 없습니다.

    하지만 찬음식을 먹을때 시린통증이 자주 발생하고 통증이 지속된다면 치수염일 수 있으니 검사받아보시는게 좋을것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호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치아가 시린경우 잇몸에 염증이 생겨서 잇몸이 퇴축된 경우 또는 치아와 잇몸경계 부분의 치아가 깨져나간 경우에 시린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곳에 충치가 있는 경우에는 충치를 완전히 제거한다음 치아색나는 재료로 메꾸는 작업을 하시게 됩니다.

    그렇게 하여도 시린증상이 소실되지 않는 경우에는 아예 신경치료를 진행하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임태형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일단 치아가 시리는것은 잇몸에 염증이 있어서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잇몸에 염증이 있다는것은 치아와 잇몸사이에 음식물이나 치태 등의 염증을 일으키는 물질이 끼어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따라서

    일단 스케일링을 하셔서 잇몸과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 하시는 단계가 필요하십니다

    이렇게 스케일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신후에도 계속 시리다면

    레진이나 GI라는 치아색나는 재료로 떼우시거나

    과도한 시림이 있는 경우에는 신경치료를 하셔야합니다. (신경치료를 하시면 보통 크라운 까지 씌우셔야하는것을 알고 계셔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주경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일단 치아가 시리면 센소다인 같은 시린치아 전용으로 나오는 제품을 써보시는것이 좋습니다.

    시린치아 전용 치약을 쓰시더라도 곧바로 증상이 나아지진 않고, 한달정도 꾸준히 쓰셔야 효과가 있습니다.

    이렇게 하여도 시린증상이 없어지지 않으면

    치과에 가셔야합니다.

    치과에 가셔서 엑스레이를 찍어보시고,

    치아자체에 큰 문제가 없으면 시린곳에 코팅이나 떼우는 술식을 받아보시면됩니다.

    단, 이렇게 코팅이나 떼우는 술식을 하셔도 금방 떨어질 가능성이 있으니, 떨어질때 다시 병원에 내원하셔서 다시 치료를 하실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효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자연적으로 칫솔질이나 치아교합압(씹는힘)에 의해 잇몸경계에 있는 치아부분이 미세하게 깨져나가는데요

    이렇게 되면 차가운것이 그 잇몸경계에 있는 치아부분에 닿이면 시린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마치 패딩을 입고있는데, 허리춤의 패딩부분만 찢어져 나가게 되었을때 허리부분에 바람이 들어오면 시리고 추운것과 같은 것입니다.)


    만약 시린것이 위의 증상때문이라면 간단하게 코팅이나 떼움(GI나 레진을 사용합니다)으로써 시린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린이유가 치아의 충치가 심해져서 치수(치아에서 신경과 혈관이 분포한 부분)에 염증이 생겼다면 위의 처치로는 증상을 개선하기 어렵고 신경치료 등을 하셔야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해당 증상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우선, 치과에 내원하셔서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시리다고 내원하시는 경우들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잇몸염증이나 치주염으로 잇몸이 들뜬 경우 - 잇몸이 부어 치아와의 접촉이 약해짐으로써 치아 뿌리에 자극이 노출되어 시린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치과에 내원하여 스케일링이나 필요시 잇몸치료 등의 치료를 통해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2. 치경부(치아의 잇몸의 경계부분)가 마모된 경우 - 치경부는 치아의 가장 바깥쪽 물질인 법랑질(에나멜)이 가장 얇은 부위로, 단단한 음식이나 질긴 음식을 즐겨 드시거나 씹는 힘이 강한 경우, 칫솔질을 좌우로 심하게 하는 경우 등, 마모가 가속화되어 법랑질 다음 층인 상아질이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시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그외 치아의 다른 부위에 깨진 부위나 금이 간 경우

    단순히 잇몸이 좋지 않아 찬물이나 뜨거운 물에 시린 경우에는 스케일링이나 잇몸치료 등으로 호전될 수 있으나, 치주염이 심한 경우에는 치료가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치아에 이상이 생겨 예민해진 경우 초기에는 찬물에 시리거나 통증이 있을 수 있으며 뜨거운 물에는 반응이 없지만(급성 치수염), 신경이 점점 변성되어 가면서 점점 찬물에 대한 반응은 약해지고 뜨거운 물에 대한 반응이 커질 수 있습니다(만성 치수염). 급성인 경우에는 단순히 자극을 제거하는 것으로(ex. 떼워주는 등의 치료) 치료가 종결되지만, 만성 치수염의 경우 자극을 제거하더라도 신경이 변성되어 되돌아오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신경치료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이가 시린 증상으로 문의주셨습니다만 정확히 치아상태를 봐야 진료가 가능한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갑자기 이가 시리기 시작하였다면 충치나 잇몸의 염증 등을 우선 고려해볼 수 있겠습니다.
    증상이 더 심해지시면 치료에 시간이나 비용이 더 들어가기 때문에 빠른 시일내 치과에서 정확한 진료를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치아가 시린것은, 충치, 크랙, 마모증, 잇몸질환이 있을 때 그럴 수 있습니다.

    물론, 정상적인 치아도 간혹가다 시릴 순 있습니다.

    크게 자주 시린것이 아니라면 별 문제가 없을 가능성이 높지만,

    그래도 혹시 모르기 때문에, 치과에서 정확히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