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23.07.13

식물은 어떻게 뿌리로 물을 흡수하는 건가요?

땅에 물이 적셔지면 식물의 뿌리가 물을 흡수한다고 알고 있는데 식물의 뿌리를 뽑아보면

딱히 흡수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 않습니다

식물은 흙에서 뿌리의 어떤 가능으로 그리고 어떤 방법으로 물을 흡수할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뿌리압,증산작용,모세관현상,물의 응집력이 모여서 된다네요.


    1. 뿌리압; 나무를 잘랐을때 물이 올라오지요. 뿌리가 물을 밀어올리는 힘.


    2. 증산작용; 잎의 물이 대기중으로 날아가면 잎 세포의 농도가 높아진다.


    그러면,농도가 낮은 흙 속의 물이 뿌리의 물관으로 흡수된다.


    3.모세관 현상; 직경이 작은 관을 물위에 세우면,관 밖의 물 높이 보다 관 안의 물높이


    가 더 높아지는 현상으로 ,식물의 물관은 하나의 작은 관의 역할을 한다.


    4. 물의 응집력; 물 분자는 서로 끌어 당기는 힘이 있는데, 이 응집력으로 뿌리에서 잎까지


    물기둥이 형성된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식물이 뿌리를 통해 물을 흡수하는 원리는 삼투압에 의한 것입니다.

    삼투압은 쉽게 말해 평형을 맞출려고 하는 성질입니다.

    땅에 물이 많으면 식물뿌리는 평형을 맞추기 위해 흡수가 되는 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식물은 뿌리로 물을 흡수하고, 그 물을 잎으로 보내서 광합성을 합니다. 광합성은 식물이 태양의 빛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을 산소와 포도당으로 바꾸는 과정입니다. 포도당은 식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산소는 식물과 동물의 호흡에 사용됩니다.

    식물은 뿌리로 물을 흡수하는 데는 '삼투압'을 이용합니다. 삼투압은 용질이 농도가 높은 곳에서 농도가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현상입니다. 뿌리 세포는 잎 세포보다 농도가 낮기 때문에, 물이 뿌리 세포로 이동합니다. 물이 뿌리 세포로 이동하면, 뿌리 세포는 부풀어 오르고, 그로 인해 뿌리 세포가 땅을 꽉 잡을 수 있게 됩니다.

    뿌리 세포로 흡수된 물은 잎에 있는 기공으로 이동합니다. 기공은 잎의 표면에 있는 작은 구멍으로, 이산화탄소와 물이 이동하는 통로입니다. 물이 기공으로 이동하면, 잎 세포는 수분이 부족해지기 때문에, 잎 세포에서 물이 증발합니다. 이 증발 작용은 물을 잎으로 끌어올리는 힘을 발생시킵니다. 이 힘을 '수분 흡인력'이라고 합니다.


  • 식물의 뿌리에는 많은 수의 작은 가시 모양인 뿌리 헤어가 있습니다. 이 뿌리 헤어는 뿌리 표면을 크게 증가시켜 흡수 표면적을 증가시킵니다. 뿌리 헤어는 물과 함께 흙 속의 미세한 흙 입자, 미네랄, 영양분 등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뿌리의 표피세포는 세포벽이 상대적으로 얇고 투과성이 높아 물과 미네랄 성분이 뿌리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합니다. 이러한 표피세포들은 물을 지속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뿌리 내부로 물을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뿌리 내부에서는 수송 조직인 목관조직(xylem)을 통해 물이 상승됩니다. 목관조직은 뿌리에서부터 식물의 상부로 물과 함께 미네랄 성분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특수한 세포 구조입니다. 이러한 수송은 식물의 증발작용, 즉 수분이 잎으로 이동하여 증발되는 것에 의해 유발됩니다. 증발 작용은 잎의 기공을 통해 수분이 수증기로 변하면서 발생하며, 이로 인해 뿌리에서 물이 끌어올려지는 "상승" 현상이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뿌리는 많은 가지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그 가지세포들의 표면에는 미세한 모세관이 있습니다. 이 모세관을 통해 흡수 표면을 증가시켜 물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습니다.뿌리에는 모세관이 존재하여 물과 함께 영양분을 흡수합니다. 모세관은 뿌리의 세포 사이를 통해 물을 운반하며, 이를 통해 식물의 다른 부분으로 영양분과 물을 전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생물체를 이루고 있는 막들은 거의 모두 가 반투과성막으로 되어 있다. 식물이 뿌리에서 물 을 흡수할 때 뿌리세포와 흙 속의 물을 비교하면 흙 속의 물은 저농도이고 뿌리세포 속은 상대적으로 고농도이다. 이 때 농도평형을 이루기 위해 흙 속에 있는 저농도의수분이 고농도의 뿌리세포 속으로 세 포막을 통해 스며들게 된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식물은 뿌리에 물을 흡수하는 데에 뿌리털을 사용합니다. 뿌리털은 뿌리의 표면에 돋아나 있는 작은 털로, 물이 잘 흡수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뿌리털은 물에 젖으면 부풀어 오르고, 이때 뿌리털의 표면에 있는 미세한 구멍을 통해 물이 흡수됩니다. 뿌리털은 뿌리의 표면적을 크게 늘려주어 물을 더 많이 흡수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식물이 양분을 흡수하는 원리는 바로 삼투압 현상입니다.

    농도에 따른 압력 차에 의하여 공급이되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