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기민한베짱이173
기민한베짱이17323.05.14

금리, 부동산, 경제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금리, 부동산, 경제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나요?

(ex. 금리가 높아지면 부동산과 경제가 안좋아지는 이유)

그리고 이 외 중요한 지표가 더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이자가 20프로면 1억만 저축해놔도 1년 이자가 2천만원입니다 세전.

    더 나은 투자가 없으니 부동산이나 주식이 투자하지않고 소비도 줄어듭니다

    은행이자가 1프로면 이자가 없는 것과 같으니

    나은 투자처를 찾게 되고 보험연금 변액, 부동산, 주식에 투자를 하게 됩니다 소비도 늡니다

    지난 제로금리 때도 언론이 매일 부채질을 해서 폭등을 했고요

    반대로 고금리 일때도 투기꾼들과 언론이 합세하여 폭등을 낳기도 합니다

    이러하니 상관관계만 보기보다는 담합 조작 언론을 조심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와 부동산과의 관계를 간단하게 이야기드린다면 금리와 부동산 시장은 반비례 관계를 형성한다고 보시면 좋습니다. 부동산 시장을 분석해드리기 위해서는 부동산 시장을 먼저 '실수요'와 '투자수요'로 구분해서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으로 나누어 설명을 드려야 할 것 같습니다.

    • 실수요자 입장
      부동산의 경우 대부분 대출을 받아서 사는 경우가 대다수, 대출금리가 상승하게 되면 원리금 상환이 증가하게 되어 부동산 매입 수요가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됩니다. 금리 인상에 따른 원리금 상환금액 부담의 변동의 예를 들어서 설명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 금리 4%인 경우 6억원 대출시 원리금 부담액 : 매월 2,864,492원
      - 금리 6%인 경우 6억원 대출시 원리금 부담액 : 매월 3,597,303원
      30년만기 기준의 대출시 매월 원리금 부담액은 732,811원이 증가하게 되다 보니 3인가구의 중위소득이 443만원임을 감안한다면 부담이 크게 가중되다 보니 부동산 구입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게 됩니다.

    • 투자수요 입장
      부동산의 투자는 '갭투자'로 투자를 하게 되는데 부동산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의 차이가 좁혀져야지만 투자수요가 상승하게 되면서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게 됩니다. 그런데 최근 금리가 상승하기 시작하면서 '전세대출금리'가 상승하자 전세가 아닌 월세로 전환하려는 이들이 증가하게 되면서 오히려 매매가격보다 전세가격이 높은 경우가 발생하게 되면서 '갭투자'가 어려운 환경이 만들어지면서 투자수요 또한 급격히 감소하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