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끈질긴청가뢰103
끈질긴청가뢰10322.02.23

코로나 감염 관련 문의드립니다.

나이
40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가족들이 2일 가량의 간격을 두고 코로나에 릴레이 감염 중인데 처음 걸린 사람이 나중에 걸린에게 다시 감염되어 바로 다시 걸릴 수도 있나요?

지금 다 같이 있는데 일주일 정도 지난 사람은 분리해야 할지 고민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코로나에 한번 감염된 후 치료되었다면 신체 내에 항체가 형성되어서 재감염이 발생할 가능성은 굉장히 낮습니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감염 후 최소 6-9개월 간은 항체가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2.25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격리해제후 전파가능성이 없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격리 해제 후 1-2주간은 대중과의 접촉을 피하는것이 좋습니다. 처음걸린사람과 이후에 걸린사람을 구분하는것이 큰 의미는 없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 그럴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에 감염되었다면 해당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몸에서 충만하게 생성된 상태이기 때문에 완치가 된 이후로도 한동안 면역력이 유지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처음 걸린 사람이 나중에 걸린 사람에게 재감염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보아도 무방합니다. 분리할 필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코로나 감염 후 완치가 되면 우리 몸에 자연항체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다만 이 항체도 3~6개월뒤에 소실됩니다. 이후에는 감염에 노출될 경우 재감염 될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또다른 돌연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재감염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물론 가능성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가족들에게서 자신이 감염되었던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에 노출이 되는 경우에는 이전 감염으로 항체가 충분히 형성되어 있기에 거의 재감염이 될 가능성은 없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두 사람은 서로 다시 감염시킬 확률이 매우 높으므로 분리할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같은 변이에 감염된다면 회복기에 있는 질문자님은 항체가 형성되어 재감염의 가능성은 매우 낮으나 가족 구성원이 다른 변이에 감염되었다면 재감염의 위험성이 존재합니다.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생존기간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는 없습니다. 하지만 이전 다른 코로나 바이러스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상온에서 플라스틱이나 쇠붙이 등에서 길게 7일까지 발견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므로 물건을 통해 감염이 될 수 있고 확진자를 격리하는 것이며 확진자 동선을 모두 소독하는 이유도 오염된 비말을 통해 감염될 우려가 걱정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코로나 확진 후 재감염이 될 수는 있지만 바로 연이어 감염되기는 어려우며 재감염은 주로

    항체가 떨어지는 3개월 후부터 재감염이 될 수 있으며 1년 동안 확진자들 일부를 대상으로

    역학 조사를 하였을 때 주로 9개월 째에 재감염이 가장 많았으며 재감염률은 0.2 - 2.5% 로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