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갸름한칠면조122
갸름한칠면조12223.07.12

gmo(유전자 변형 생물)은 우리에게 안전한가요?

안녕하세요?

유전자 변형 생물이 요새 부쩍 다시 화제에 오르내리는 것 같습니다.

인류 식량난을 해결해줄 유용한 기술이라는 것은 알지만 유전자 변형이라는 어감에서오는 거부감은 어쩔 수 없는 것 같습니다.

gmo를 섭취해도 정말 괜찮은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유전자 변형 생물체에 대한 안전성은 많은 연구와 과학적 평가를 통해 평가되고 있습니다. 다양한 국제 기구와 과학 단체들은 GMO의 안전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로는 GMO 식품과 식물이 일반적으로 인간 건강에 해롭다고 할 만한 증거는 없다고 평가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럽 식품안전처 미국 식품의약국 , 세계보건기구 등은 GMO 식품의 사용이 안전하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그러나 GMO에 대한 우려와 논란도 존재합니다. 일부 사람들은 환경 영향, 생태계 변화, 유전자의 이동 등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또한, GMO 제품들이 식품 유전자원의 다양성과 관련하여 농작물의 종속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GMO 식품, 즉 유전자 조작 식품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 하고 걱정해요.

    유전자 조작 식품은 유전자 재조합을 통해 새롭게 만들어진 농작물을 원료로 만든 식품을 말해요. 그러면 유전자 재조합은 무엇일까요?

    유전자 재조합은 생명체의 암호인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바꾸는 거예요.

    유전자의 순서를 바꾸거나 넣고 빼서 원래 생물의 단점을 없애고 사람에게 도움을 주는 생물로 탈바꿈시키지요.

    유전 공학 과학자들은 미생물을 연구하고 유전자에 대해 연구를 거듭하면서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얻어냈어요.

    하지만 유전자의 기능을 밝히고 재조합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에요.

    유전자 단백질의 양을 늘리거나 특정 유전자를 파괴하고, 새로운 유전자를 넣는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을 적용해야 하기 때문이지요.

    머지않아 유전자 조작 식품이 우리 식탁 전체를 차지할지도 몰라요.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농작물을 오래 보관하고, 대량 생산할 수 있게 해서 먹을거리에 대한 걱정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반면에 유전자 조작 식품에 보이지 않는 위험이 담겨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아요.

    당장은 괜찮아도 언젠가 예상하지 못한 위험을 일으킬 수 있다고 불안해 하는 거지요.

    식물이 싹을 틔우고 열매를 맺는 등의 생명 현상을 수소와 산소가 만나 물을 만드는 것처럼 하나의 단순한 화학 현상으로만 볼 수 없다는 거예요.

    유전자 재조합 식물은 생태계 질서1)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어요.

    유전자 재조합을 통해 해충을 견디는 식물을 만들었는데 다시 그 식물을 이기는 돌연변이 해충이 나오는 등 식물이 새로운 유전자를 받아들이면서 생태계의 먹이사슬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는 말이지요.

    또 유전자 재조합 식물이 바람이나 곤충에 의해 경작지를 벗어나 다른 식물과 교배하거나 유기농2) 경작지로 들어가면 어떻게 될까요?

    유전자 재조합 식물은 살아 움직이는 생물이기 때문에 생태계에 미칠 영향을 바로 예측하기가 어렵답니다.

    이처럼 유전자 조작 식품은 약이 될 수도, 독이 될 수도 있어요.

    유전자 조작 식품이 약이 되기 위해서는 유전자 시스템을 확실하게 이해하고 부작용을 줄이는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거예요.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GMO 즉 유전자변형생물을 식량난 해결책으로도 부각되긴합니다만 아직 뚜렷하게 나타난 부작용이나 문제가 보고되지 않아 부담이 되긴합니다. 그냥 개인적으로는 좀더 상용화 이후에나 시도해보는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최근 샤인머스캣이나 사파이어포도처럼 품종을 개량한 식품들은 우리 생활곳곳에 많이 침투해 있습니다.

    또한 옥수수나 곡물류, 과일류등등 더 많은 수확을위해 사용되어온 방법입니다.

    꽤 오랜시간 우리가 섭취해왔지만 뚜렷한 유전적 부작용이 아직까지는 없습니다.

    어차피 단위체형태로 잘게분해되어 흡수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다만 특정 유전자조합이 만들어내는 특정물질에대한 알레르기 반응정도는 일어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