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칠공주파리더
칠공주파리더24.03.24

산은 왜 고도가 높을수록 기온이 낮은 것인가요?

산 중에서 높은 산은 꼭대기 정상 부위에 눈이 사시사철 녹지 않는 경우가 있잖아요? 어차피 태양열은 지구로 내리면서 고도마다 온도가 달라지지는 않을텐데 왜 평지보다 산 꼭대기에서는 기온이 특히 낮은 것인지 이유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이나 고원 등 해발 고도가 높은 장소일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이유는 대기의 압력과 밀도가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대기의 압력과 밀도가 낮아지면 분자 간의 충돌이 적어져서 열 전달이 어려워지고 이 때문에 기온이 낮아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산 꼭대기에서 눈이 녹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산 꼭대기는 고도가 높아서 대기가 얇아지고 공기가 차가워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고도 차이로 인해 태양열이 지구로 내려오는 동안 공기가 더 많이 차갑게 식히기 때문에 산 꼭대기에서는 기온이 낮아지게 됩니다.

    산 꼭대기는 일반적으로 바람이 강하고 습도가 낮아서 수분이 증발하는 속도가 빠릅니다. 이로 인해 산 꼭대기에서는 수분이 적어서 눈이 녹지 않는 것입니다.

    산 꼭대기는 태양이 비추는 시간이 짧기 때문에 태양열을 받는 시간이 짧습니다. 따라서 산 꼭대기에서는 태양열을 받는 시간이 적어서 기온이 낮아지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산 꼭대기에서는 기온이 낮아지고 눈이 녹지 않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것은 맞습니다. 그러나 왜 평지보다 산 꼭대기에서 특히 낮은 기온이 발생하는지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기압과 공기의 희박성: 산 꼭대기는 해수면보다 더 높이 솟아 있기 때문에 기압이 낮습니다. 공기가 희박하고 밀도가 낮아지면 열이 보존되지 않아 기온이 낮아집니다.

    복사 열 손실: 산 꼭대기는 노출된 지형이며, 태양 복사 열을 효과적으로 저장하지 못합니다. 또한 눈이나 얼음이 있는 경우, 이들은 복사 열을 흡수하고 방출하는데 시간이 더 오래 걸리기 때문에 기온이 낮아집니다.

    눈과 얼음의 반사: 눈과 얼음은 태양 복사를 반사하고 흡수합니다. 이로 인해 산 꼭대기에서 더 적은 열이 흡수되고 기온이 낮아집니다.

    지형 효과: 산은 지형적으로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그 중 일부는 특히 기온이 낮아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뾰족한 봉우리는 열이 빠르게 방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결합하여 산 꼭대기에서 평지보다 더 낮은 기온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은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데,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 지표면에서 복사되는 열을 덜 받기 때문입니다. 지표면은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여 열을 방출하지만, 고도가 높아질수록 지표면으로부터 멀어져 이 열을 덜 받게 됩니다. 둘째, 공기가 팽창하면서 에너지를 소모하기 때문입니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압이 낮아져 공기가 팽창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에너지를 소모하면서 온도가 낮아집니다. 이러한 이유로 산 정상은 지표면보다 훨씬 춥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