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푸른참매282
푸른참매282
23.02.14

미국 cpi 지수에 따른 현상이 무엇이 있나요?

미국 cpi 지수의 변동에 따라 나타나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 현상들이 무엇이 있나요? 그리고 대한민국에도 무슨 영향을 끼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오늘 오후 10시 30분에 발표 예정인 미국의 CPI지수에 대한 현재 예측값은 6.2%입니다. 이는 전월에 발표된 6.4%에 대비해 0.2%가 낮아지는 수치를 예측하는 것인데 이 기점이 굉장히 중요한 순간이라고 보셔야 합니다.

    지난 11월 10일을 기점으로 1월까지 미국의 CPI값은 예측보다 빠르게 하락하면서 미 연준의 긴축 정도를 낮추게 될 요인이 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2월의 CPI 예측값이 1월에 비해서 0.2% 낮아지는 값이 예측된다는 것은 그만큼 인플레이션 인하 속도가 둔화된 상태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6.2%가 나오게 되더라도 향후 미 연준의 긴축속도가 완화보다는 다시 빨라지게 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보니 현재로서는 예측치인 6.2%보다 낮은 값이 나와야 연준의 금리인상 기조가 완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오늘 발표될 CPI값을 기준으로 향후 연준과 우리나라의 금통위의 움직임을 예상한다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CPI값 6.2%이상 - 미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 빨라질 가능성이 상승하고 정점금리 수준이 높아질 가능성 높음

    • CPI값 6.1%이하 - 미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 완화기조 유지되어 정점금리 수준 유지

    증시를 기준으로 본다면 6.2%이상이 나온다면 증시는 큰 하락할 가능성이 높고, 달러환율은 크게 상승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6.1%이하가 나온다면 증시는 상승 달러환율은 하락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미국 cpi 가 낮다는 것은 그만큼 물가가 낮아졌고 금리 인상 기조가 꺾이는 기대가 생겨서 시장이 활성화됩니다.

    한국도 마찬가지로 cpi 낮아야 금리를 낮추고 경기가 활성화되니

    기업, 가계 부채가 줄고 투자가 많아져 경기가 다시 살아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미국의 cpi지수로 인하여 미국 기준금리의 향방이 결정되기 때문에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 이미 4.5%까지 올라간 미국의 기준금리가 지금보다 더 올라갈 경우 국내에는 큰 부담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번 cpi 발표도 주목해서 볼 수밖에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 물가상승 잡기 위해 연준이 금리인상할거고

    한미 금리격차는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부담이죠

    침체가능성도 높아집니다

    부채부담도 가중되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