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바샤바라는 말은 어디 말인가요??
상사에게 잘보이려고 비위 맞추는 것을 흔히 샤바샤바라고 말하잖아요.
근데 샤바샤바가 어디 외국 말인가요?
아니면 그냥 속되게 말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스타박스입니다.
샤바샤바 또는 사바사바는 유래에 대해서 여러 어원설이 있습니다.
우선은 사(샤)바사바가 불교용어인 사바하나 사바에서 온 것으로 보는 설이 있습니다.
불교에서 사바하는 진언의 끝에 붙여 그 내용이 이뤄지기를 구하는 말을 의미합니다.
세속적인 희망을 갈구하며 윗 사람에게 손을 비비며 아첨하는 것이, 마치 진언의 내용을 갈구하며 사바하 사바하 라고 외치는 것과 비슷하다고 그렇게 유추하는 듯 합니다.
불교용어 사바는 괴로움이 많은 인간세계 즉 속세를 가리킵니다. 속세에는 옳지 못한 수단과 방법, 조작된 이르 갖가지의 아첨과 알랑거리는 태도 등이 난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바세계의 무질서와 추태를 속세라는 뜻의 사바를 이용하여 사바사바 또는 샤바샤바로 표현했다는 해석입니다. 즉 속세를 뜻하는 사바가 세속의 부정적 측면을 표현하는데에까지 이용되었다고 보는 것입니다.
또다른 설은 사바사바가 일본어에서 온 것으로 보는 설도 있습니다.
일본어 유래설에서 어떤 일본어에서 사바사바가 유래되었냐느냐가 관건인데
우선은 마음이나 성격이 후련한 모양을 뜻하는 일본어 사바사바에서 온 말로 보기도 합니다.
다만 그 일본어와 우리말 사바사바에는 의미적인 갭이 있어 보입니다.
둘째는 사바사바가 고등어를 뜻하는 일번어 사바에서 온 것인데, 일제 강점기에 일본 순사에게 형사 사건을 청탁할 때에는 뇌물을 주어야 했는데 그 뇌물로 고등어가 적격이었다고 합니다. 당시에 고등어는 값비싼 생선이어서 선호도가 높은 생선이었다고 해요. 뇌물을 뜻하는 사바와 뒤에서 좀 떳떳치 못한 일을 꾸민다는 사바사바와의 관계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나 이 역시 좀 억지스럽기도 합니다.
세번째는 적당히 속여서 이익을 탐한다는 일본어 사바오요무라는 관영어에서 왔다고 하는 주장도 있습니다. 사바오요무에서 사바는 고등어란 뜻이고 요무는 세다라는 뜻입니다. 어시장에서 고등어나 정어리 등 물고기를 팔 때에는 부패를 막는다는 명목으로 빨리 세어서 상자에 던져 넣는데 나중에 세어보면 거의 늘 모자라서 적당히 속여서 이익을 탐한다는 의미의 관용어로 변했다고 합니다.
마지막 설은 뒤에서 떳떳하지 못한 것을 은밀하게 행할 때에 양손을 비벼대며 굽신되는 의태어로서 샤바샤바 또는 사바사바가 되었다는 설도 있기는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