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물론이죠 온도에 따른 수증기 포화량의 차이는
기압과 관련된 물의 물리적 성질 때문입니다.
온도가 상승할수록 물의 포화 증기압이 증가합니다.
포화 증기압이란 특정 온도에서 액체와 기체 상태의
물이 평형 상태에 있을 때의
기체의 압력을 말합니다.
이 압력이 최대로 물의 기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 한계를 의미합니다.
공기 중의 수증기 양이 포화 증기압에 도달하면 더
이상 추가적인 증발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이것을 포화 상태라고 하며 이때 공기는
포화 습도에 도달했다고 말합니다.
상대습도는 공기 중에 실제로 존재하는 수증기의
압력과 같은 온도의 포화 증기압과의 비율을 말합니다.
공기가 포화 상태에 이르면 상대습도는 100%가 되며
이때 공기는 추가 수증기를 더 이상 함유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온도가 낮을수록 공기는 더 적은 양의
수증기를 포화 상태로 가질 수 있습니다.
겨울에는 기온이 낮기 때문에 공기가
적은 양의 수증기만을 함유할 수 있어서
상대적으로 건조합니다.
여름에는 기온이 높아서 같은 양의 공기가
더 많은 수증기를 함유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습도가 높아집니다.
이 원리 때문에 겨울철에는 실내외 온도 차이로 인해
실내가 더 건조하게 느껴질 수 있고 여름에는 높은
기온과 함께 습도가 증가하여 더욱 습하고
무덥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참고로 같은 온도에서도 습도에 따라 우리가 느끼는
체감 온도는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습한 여름날에는 실제 온도보다 훨씬 더 덥게 느껴지는
반면 건조한 겨울날에는 더 춥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