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21.10.30

코로나 백신 mRNA백신과 바이러스 벡터백신 차이점은?

코로나 백신을 확인해보니 크게 두가지로 나뉘더라구요

mRNA백신과 바이러스 벡터백신으로 나뉘는 것 같던데 두 개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안전성과 효과는 어떤게 더 효율적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얀센과 아스트라 제네카백신 은 전달체 백신 바이러스로 바이러스 표면항원유전자를 다른 바이러스 주형에 넣어 몸에 주입하여 항체형성을 유도하는것이고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은 핵산핵신(mRNA)인데 이것은 바이러스 표면항원유전자를 RNA형태로 몸에 주입햐여 체내에서 표면항원 단백질을 만들어서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것입니다.

    둘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항체를 형성하기 위해서지만 코로나 바이러스의 표면항체를 제공하는 방법이 다릅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접종하고 있는 백신은 특별이 어떤것이 특별히 좋다고 할수 없어요.

    부작용의 가능성은 매우 낮으며 효과는 비슷합니다.

    특정 연령대에 혈전증이 생긴다는 극히 드문 보고가 있습니다.

    공급되는 백신의 양과 시기에 따라서 접종하는 백신의 종류가 달라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mRNA백신과 바이러스 벡터 백신의 차이는 제조 방식의 차이입니다. 둘 다 기존 백신 제조 방법과는 다른 방법이라 지금까지는 어떤 부작용이 나타나고 효과가 있는지 알 수가 없었지요. 다만 경험이 축적되고 난 이후에 바이러스 벡터 백신인 얀센, 아스트라제네카는 점점 퇴출?되는 상태입니다. 예방율도 조금 떨어지고 혈전 부작용의 위험이 높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요즘에는 mRNA백신인 모더나나 화이자만 거의 접종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송용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백신은 DNA를 주입한 바이러스 벡터 백신이고

    모더나와 화이자 백신은 m RNA 백신 입니다.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백신은 면역세포를 활발하게 해주는 장점, 유통과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드물게 혈전증 부작용이 있어, 심한 두통이나 신체 곳곳에 멍이 생기는 경우에는 병원에 내원하셔야 합니다.

    모더나와 화이자 백신은 중화항체를 많이 만들어내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드물게 심근염 부작용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흉통, 심계항진, 호흡곤란 등이 나타나면 병원에 바로 가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송정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만 30세 미만의 경우 바이러스 정보전달에 아데노바이러스 매개를 하는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의 경우 혈전 부작용 위험성이 있기에 mRNA매개 백신인 화이자나 모더나 백신을 권장드립니다.

    화이자나 모더나 백신의 경우 백신 접종후 가슴통증 두근거림 답답함과 같은 증상이 있는 경우 심근염의 위험성이 있기에 이부프로펜 성분의 소염진통제를 복용하고 접종과의 인과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병원에 방문하시어 검사 및 진료를 받으시길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mRNA백신의 경우 체내에 주입하면 체내에서 코로나 spike 단백질이 형성되어 면역반응을 유발하게 됩니다.

    반면에 바이러스 백터 백신은 직접 코로나 spike 단백질을 주입하여 면역반응을 유발하는 작용 기전을 가집니다.

    mRNA 백신이 바이러스 백터 백신에 비해 항체 형성이 더욱 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백신 접종 후 항체가 형성되는 면역반응 과정에서 발열, 통증, 가려움 등의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항체생성량은 mRNA 백신이 더 많고 효능도 좋습니다.

    다만 PEG 알러지가 있는 분들은 벡터방식의 백신을 더 추천합니다.

    다만 벡터방식은 예전에 독감바이러스를 만들 때 사용하는 방식이다보니

    mRNA 방식이 더 최신 기술이 들어간 백신이라고 보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병열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모더나, 화이자 - mRNA 백신(화이자 3주에서 6주, 모더나 4주에서 6주 간격)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항원을 발현시킬 수 있는 RNA를 투여하여 우리 몸에서 항체형성을 유도합니다.

    AZ, 얀센 - 바이러스 벡터 백신(AZ 4주에서 12주 간격, 얀센은 1회접종)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항원 유전자를 다른 바이러스에 넣어 투여하여 우리 몸에서 항체형성을 유도합니다.

    코로나19 백신을 접종받으면 우리 몸에서 코로나19에 대항할 수 있는 항체를 형성합니다. 다음번에 코로나19가 침입한다면 맞서 싸울수 있는 무기를 들고있는 셈입니다. 감염위험도 낮추면서 치료효과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바이러스벡터 백신 : 아데노바이러스 안에 코로나 바이러스의 DNA를 주입하여 만드는 형식

    mRNA 백신 :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하지 않고, 바이러스의 유전정보인 mRNA를 몸에 직접주입하는 형식

    우선 바이러스벡터 형식은 한번 항체가 생기면 오래간다는 장점이 있고, mRNA 백신은 항체 생성률이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승우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은 생백신이나 사백신으로 나뉘어 집니다.

    생백신은 감염의 위험성이 있어 현대백신은 대부분 사백신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사백신은 약화된 바이러스의 단백질이나 조각을 사용합니다. 다만 사백신은 그만큼 백신의 효과가 생백신에 비해 감소하게 됩니다.

    mRNA백신은 기존의 백신과 달리 신체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단백질 또는 단백질 생성 방법을 세포에 가르쳐, 특정 바이러스에 노출되었을 때 이에 대한 항체를 형성하도록 유도하는데 기존 사백신의 효과보다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전달 방식의 차이입니다. mRNA를 주느냐 바이러스벡터에 심어서 주느냐 입니다.

    두 방식의 어느 특정 요인때문에 얀센/아스트라제네카는 혈전이슈가 있습니다. 화이자/모더나는 심근염 이슈가 있습니다.

    화이자/모더나는 90%대, 얀센/아스트라제네카는 60%대 항체형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정수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화이자와 모더나는 둘다 mRNA 백신으로 같은 종류의 백신이라고 보시면 되며, 다만 후보물질이 다른 종류의 mRNA 백신으로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크게 mRNA 백신으로 같은 것으로 보시면 편합니다. 다만 후보물질이 달랐기 때문에 효과와 부작용 면에서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모더나가 화이자보다 이상반응이 많은 것으로 초기에 보고가 되었고 mRNA 백신은 항체 생성률이 높은데 모더나가 화이자보다 항체형성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보고된 것이 있습니다. 둘다 좋은 백신이고 (mRNA 백신이므로) 무엇이 더 좋다고 얘기하기는 어렵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바이러스벡터백신입니다. 8~12주 간격으로 2회 접종을 하는 백신이며 항체생성률은 mRNA백신인 화이자, 모더나 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65% - 70% 정도)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민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두가지 모두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유전정보를 체내로 전달합니다. mRNA백신은 외부항원에 대한 정보를 mRNA형태로 직접 전달하고, 벡터방식은 아데노바이러스 안에 정보를 집어넣고 바이러스를 우리 몸에 전달합니다. mRNA 백신효능이 더 좋다고 알려져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병도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① 바이러스 백터 백신

    바이러스 항원 유전자를 다른 바이러스에 넣어 투여하는 방법으로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이 해당합니다.

    ② RNA 백신

    바이러스 항원 유자를 RNA라는 형태로 투여하는 방법으로 모더나와 화이자가 이에 해당합니다.

    ③ 단백질 재조합 백신

    바이러스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만들어 투여하는 방법으로 가장 역사가 오래되었고 이에 따른 안정성이 보장되어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0.30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mRNA백신은 최초로 사용되는 백신으로 모더나와 화이자가 이에 해당됩니다. 현재 알려진 바로는 모더나 화이자가 타백신에 비해 변이바이러스 및 코로나 감염 예방에 좋은 성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코로나 mRNA백신은 균을 넣는 것이 아니라 유전물질을 넣는 것으로 접종으로 인한 감염의 가능성이 없고 PCR검사결과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즉각적으로 검사를 하더라도 양성결과를 나오게 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