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인도에 50% 관세를 부과한다는데 우리나라 경제에도 영향이 있나요?
우리나라 기업들도 중국에서 베트남, 인도로
제법 이전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미국이 부과한 인도50% 관세는
우리나라 기업들에도 타격을 줄 수도 있나요?
우리나라 기업들은 인도에 주로 어떤 산업들이 들어가 있는지요?
국은 인도에 상당한 수준으로 이전한 제조시설이 많지 않으며, 주요 산업 분야는 자동차, 전자·반도체, 건설·인프라, 의료기기 등으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현대자동차는 인도 내 대형 공장을 운영하며 차량을 생산하고 있고, 삼성, LG 등은 현지에서 가전 및 전자부품 사업을 전개 중입니다. 만약 이들 제품이 미국으로 재수출되는 구조라면, 50% 관세는 사실상 수출을 불가능하게 하거나, 가격 경쟁력을 완전히 상실하게 만들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인도에 진출한 삼성, LG전자, 현대차 등은 미국 수출 시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미중 갈등 완화 후 인도 진출을 늘렸습니다. 관세 장벽 땐 수익성 타격우려가 있습니다.
전자, 자동차, 부품 산업군 중심으로 예의 주시가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인도에 관세를 50% 부과했습니다.
삼성전자 등 많은 국내 기업들이 인도에 진출해 있어 타격이 어느정도 있을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인도에 대한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는 겉보기엔 인도만의 문제 같아 보여도 우리나라 기업들한테도 불똥이 튈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전자나 섬유처럼 미국 수출 비중이 큰 산업에 들어간 국내 기업들이 인도에 공장 세워서 OEM 방식으로 제품 생산하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이 상황에서 인도산 제품에 50퍼센트 관세가 붙으면 결국 그 부담이 우리 기업까지 넘어올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수출 가격경쟁력 확 떨어지고 미국 바이어들도 발 빼려 할 수 있어서요. 휴대폰 부품이나 가전 쪽 생산기지를 인도로 옮긴 대기업 협력사들이 많아서 그런 쪽 중심으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지금까지의 흐름 보면 단순한 무역 문제가 아니라 글로벌 생산 전략 자체를 다시 짜야 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오히려 이득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는 양국에 모두 수출을 하고 있는 국가로써 인도와 미국 제품의
대체품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해당 능력을 바탕으로 우리나라는 양쪽에서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인도에서 생산하는 우리나라 기업 제품 중에 미국으로 수출되는 제품들이 있다면 영향을 받을수 있습니다. 특히 삼성전자나 Lg전자의 스마트폰 및 가전 일부를 인도에서 생산하는데 미국으로 수출된다면 영향을 받을수 있습니다. 현대차도 인도 생산/수출량이 많아 영향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