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보험

상해 보험

금쪽같은개개비206
금쪽같은개개비206

고의/과실이 없어도 고지의무 위반에 해당하나요?

23년 2월 심근경색 의심 되어 응급실에 갔다가 2박 3일 입원 후 퇴원하였습니다.

10일 후 외래 진료를 받으러 가서 심근경색 진단서를 요청하니 조영술 결과 협착이 심하지 않아서 심근경색 진단을 못해준다고 진단서 발급을 거절당했습니다.

당시 주 진단은 죽상경화증, 고혈압이었습니다.

24년 4월 입원력 1년 지나 315 간편고지 상품에 가입하였고, 심근경색으로 진단할 수 없다고 들었기 때문에 5년 내 중대질병(암, 뇌졸중, 심근경색, 협심증, 간경화) 고지 사항에 해당 없음으로 체크하였습니다.

24년 5월 뇌졸중 진단을 받아 진단서를 떼니, 진단서 상 질병분류기호에는 없지만, 진단서 내용에 협심증으로 치료중이라는 코멘트가 있었습니다.

당시에 확인하지 못했고, 진단서를 받은 지 일주일 후 보험을 청구하려 진단서를 확인하였을 때 해당 사항 발견하여 병원에 문의하니, 23년 2월부터 협심증 코드가 계속 올라가있었다고 합니다.

이 경우 협심증 진단에 대한 언급을 듣지 못했고, 전혀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가입한 보험이 고지의무 위반에 해당하나요?

후고지 대상이 되는 것인지,

후고지 시 당연히 해지 유도하려 할텐데

병원에서 알려주지 않은 진단때문에 311보험이라도 가입하여 뇌졸중 진단 보험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놓친 것인데 이것을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심근경색은 완전히 막혀서 발생하는 진단입니다.

    협심증이 심해져서 심근경색증이 되는 것이죠.

    그렇기에 병원에서는 심근경색증으로는 진단이 안나와서 발급을 안해준 것 같습니다.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은 차이가 있으니까요.

    진단서상에서 협심증으로 치료중이라는 것이 있었다면 고지의무 위반이 맞기에..

    다른 방법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인지하지 못하셨어도 진단서 상에 기재가 되어 있었기에.. 가입당시 설계사로 부터 조언을 받으셨어야 했는데.. 이부분은 안타깝습니다.

  •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심혈관 질환 영상학적 내용과 임상학정 증상이 없다면 협심증 진단 확정으로 볼 수 없습니다.

    단순 진단코드 명기가 아닌 진단 적정성이 확인되지 않는다면 고지대상으로 볼 수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재영 보험전문가입니다.

    중대한 사유에 해당하여....

    고의 과실이 아니라고해도

    가입 및 보상에 문제가 되어보입니다.

    손해사정사분들도 많이 글 다시겠지만 여러 글 보고 판단해보셔요.

  • 안녕하세요. 강성훈 보험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 상황이 특수한 부분이 있긴 하네요.

    정확한 부분은 다퉈봐야 하겠지만, 병원에서 기록한 의무기록지에 협심증으로 명확히 기록되어있는 상황에서는 추후 보험금 청구시 조사자의 의무기록지 체크에서 문제될 수 있습니다.

    실제 기록이 남아 있는데 이에대한 변경이나 부정없이 몰랐었기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한다면, 실제 유사한 고지의무 위반 케이스도 마찬가지로 보험금 지급이 일어나야 하기 때문에 애매한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