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통쾌한다슬기196
통쾌한다슬기19623.11.25

번개칠때 자동차안에 들어가면 왜 안전한가요?

번개의 안전지대에 대해서 질문좀 드립니다.

번개가 칠때 나무 아래는 위험하고 자동차 안에 타면

안전하다고 합니다.

어떤 이유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번개의 안전지대에 대해 궁금하신 점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번개가 칠 때 나무 아래는 위험하다고 알고 계시는 것은 맞습니다. 나무는 높이가 있고 물이 많아 전기가 잘 통하는 재료이기 때문에 번개가 칠 경우 전기를 많이 흡수하게 됩니다. 따라서 나무 아래에 있으면 전기가 나무를 따라 내려오게 되어 위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동차 안에 타면 안전하다고 말씀드리는 것은 맞습니다. 그 이유는 자동차의 금속 차체가 전기를 흡수하고 흩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전기는 금속을 따라 흐르기 때문에 자동차 안에 있으면 전기가 차체를 따라 흐르게 되어 안전한 지대가 됩니다. 그리고 자동차 안에는 고무 타이어가 있어 전기가 흐르지 않는 장벽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자동차 안에 있으면 전기가 흐르지 않고 차체를 따라 흩어지기 때문에 안전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동차 안에서도 전기 충격을 받을 수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번개가 칠 때는 가능한 한 자동차 안에 있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번개가 칠 때는 가능한 한 건물 안에 있거나 차를 멀리 떨어진 곳에 주차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차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금속은 전기를 잘 전도하고 흘려보내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번개가 차체를 통과하는 경로를 제공합니다. 이는 차량 내부에 있는 사람들을 외부로 향하는 전기 에너지로부터 보호해줍니다.자동차는 차체의 금속 구조를 통해 전기를 흘려보내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차량의 바퀴와 바닥은 고립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번개가 자동차에 치중될 경우, 전기는 차체를 따라 흘러서 땅으로 향하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차량 내부에 있는 사람들은 전기가 외부로 흐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번개는 한마디로 대기 중의 방전현상이다. 공기는 절연체이므로 기본적으로 전기가 통하지 않는다. 그러나 양전하와 음전하를 띤 구름과 구름, 구름과 지면사이에 전압이 높아지면 극 히 짧은 시간 동안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또 구름이 담고 있는 전하량의 한도가 넘게되면 하늘에서 전하덩어리가 떨어진다. 이것이 구름과 땅 사이의 방전으로 벼락이라고 한다. 그러나 번개가 구름에서 지면으로만 치는 것은 아니다. 지면에서 구름으로 올라가는 번개도 있다.




    번개가 칠 때의 전기량은 1회에 전압 10억V, 전류 수만A에 달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5천A 의 벼락은 1백W의 전구 7천 개를 8시간 동안 켤 수 있는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셈이다. 오랜 옛날 번개는 대기 조성과 원시생물 탄생에 지대한 역할을 해냈다는 이야기도 있다. 번개가 치면 공기중의 산소분자는 유리된 산소와 결합한 오존이 돼 공기 중에는 오존량이 급격히 증가한다. 이러한 오존은 층을 이뤄 지구 생명체의 보호막 역할을 해냈다는 것이다. 동시에 대기중의 공중 질소는 해양에 녹아 들어가 원시 생물 탄생에 필수적인 아미노산합성에 기여했으리라는 가설도 있다. 또 공중질소가 토양에 고정돼 비료로 쓰인다는 말도 있다. 물론 지금도 번개가 치면 이런 현상이 일어나고는 있지만 그 양은 극히 미약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