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철학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조선은 성리학적 질서가 강화된 사회인데, 강화시킬 수 있던 장치가 궁금합니다.

조선은 성리학적 질서가 강화된 사회인데, 강화시킬 수 있던 장치가 궁금합니다.

16세기 사림 집권 후 명분론이 강화되었고 삼강 오륜이 중시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 때 불교의 폐단이 너무나도 심했기에

      새로운 통치사상이 필요했습니다.

      이때 낙점된 것이 성리학이었습니다.

    • 하트와플파이
      하트와플파이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대표적으로 전국 각지의 '서원'과 '향약'을 통해 성리학적 질서를 확립,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이며, 조선 중기 이후 정계를 사림이 완전히 장악하게 됨에 따라 성리학 유일사상화가 더욱 심해졌다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 - -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성의껏 답변을 드려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퇴계 이황, 율곡 이이가 조선에 맞는 성리학적 사상을 만들었고

      성리학적 사고관을 전파하기 위해 성학집요 등 많은 성리학적 서적이 만들어 졌습니다.

      그것이 조선시대 고을까지 퍼져서 삼감오륜, 삼불거, 칠거지약 등 일반 백성들의 삶을 통제했고 제약했습니다.

      성리학적 사고관이 향촌까지 퍼져서 작용을 한 것이고 마을에는 향교가 세워지고 마을의 수령이 향교의 지방 선비들의

      조언을 맏아서 마을을 관리하였습니다. 성리학적 사고관이 조선 전체를 지배한 것입니다. 그 이유로 성리학의 나라 조선이

      500여년 동안 지탱 할 수 있었고 무너지지 않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