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그만좀합시다
그만좀합시다23.08.04

최초로 정한론이 일본에 나타난 시점은 언제인가요?

일본은 실제로 한반도를 점령하기 위해서 시도하다가 결국 1910년에 성공하게 되는데 일본 역사에서 정한론이 최초로 나타나기 시작한 시점은 언제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04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한론은 1870년대 전후 일본의 조선 공략론을 말합니다.

    정한론이란 에도 막부 말기에서 메이지 초기에 일본에서 등장한 조선 침략론을 가리킵니다.

    특히 1873년 10월 정한론 정변 당시의 주장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한론은 고대 일본의 신공왕후(神功王后)가 삼한(三韓)을 정복했다는 전설에 기초한 것으로, 19세기 후반 메이지 정부의 체계를 확립했던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의 스승인 요시다 쇼인(吉田松陰, 1830~1859)의 대외 침략 사상이 정한론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안녕하세요. 정한론이란

    1870년대를 전후하여 일본 정걔에 강력하게 대두된 한국에 대한 공략론입니다

    1868년(고종 5) 일본정부는 그들의 왕정복고(王政復古)를 조선정부에 통고하고 양국의 국교회복을 청하는 사신을 보내 왔으나, 척왜정책(斥倭政策)으로 기운 대원군 집정의 조선정부는 서계(書契:外交文書)의 격식이 종전과 같지 않고 도서(圖書:符印)도 조선정부가 인각(印刻)한 것이 아니라는 이유를 들어 사신의 접견조차 거부하였습니다. 이로부터 양국은 외교문서의 수리를 놓고 1년을 논박으로 보내다가 일본은 대조선(對朝鮮) 외교를 전담하여 온 쓰시마도주[對馬島主] 소오씨[宗氏]로부터 그 직임을 회수하고 1869년과 1870년 외무성 관리를 파견하였으나, 조선측의 완강한 거부에 부닥쳐 타결을 보지 못하였습니다. 1872년에는 외무대승(外務大丞) 하나부사 요시모토[花房義質]가 군함을 이끌고 부산에 내도하였으나, 조선측은 '왜사(倭使)가 군함을 타고 오다니 상대해 줄 수 없다'고 냉대하여 수개월 동안 체류하다가 돌아갔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최초로 정한론이 일본에 나타난 시점은 7세기 후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정한론은 중국의 대표적인 불교 철학 중 하나이며, 중국에서 대중화되면서 인근 국가인 일본으로 전파되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일본에서도 다양한 해석과 발전을 거쳐 일본 불교의 중요한 철학적 기반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참고 바래요 ^^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한론이란 에도 막부 말기에서 메이지 초기에 일본에서 등장한 조선 침략론을 말합니다. 특히 1873년 10월 정한론 정변 당시의 주장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