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진기한올빼미129
진기한올빼미129

화성과 목성사이 소행성대 위치한 세레스가 왜소행성으로 분류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세레스는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 속한 유일한 왜소행성 입니다. 소행성대에서 가장 크고 무거운 천체로, 지름이 946㎞에 달합니다. 1801년 발견된 소행성 세레스가 왜소행성이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세레스가 왜소행성이 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세레스는 지름이 946㎞로 매우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세레스가 태양계에서 가장 작은 행성 중 하나인 수성보다도 작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세레스는 크기가 작아서 행성이 아닌 왜소행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세레스는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 위치해 있습니다. 소행성대는 태양계에서 행성이 아닌 작은 천체들이 모여 있는 지역으로 이곳에서는 행성이 아닌 천체들이 많이 발견됩니다. 따라서 세레스도 소행성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왜소행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세레스는 1801년에 발견되었습니다. 당시에는 아직 왜소행성이라는 개념이 없었고 세레스는 단순히 새로운 천체로 분류되었습니다. 하지만 이후에 왜소행성이라는 개념이 도입되면서 세레스도 왜소행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세레스는 행성이 아닌 왜소행성으로 분류되었지만 여전히 중요한 천체입니다. 세레스는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서 가장 큰 천체이며 태양계에서 발견된 첫 번째 왜소행성입니다. 따라서 세레스는 태양계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상으로 세레스가 왜소행성이 된 이유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세레스는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 있는 유일한 왜소행성이며, 이 지역에서 가장 크고 무거운 천체입니다. 1801년에 발견되었고, 지름이 약 946킬로미터에 달합니다. 세레스가 왜소행성으로 분류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천체의 크기와 구성: 세레스는 그 크기와 질량이 충분히 크기 때문에 자체 중력으로 거의 구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 특징은 행성과 비슷합니다.

    2. 소행성대의 위치: 세레스는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지역은 수많은 작은 천체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레스는 이 중 가장 큰 천체입니다.

    3. 국제천문연맹의 정의 변경: 200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행성의 정의를 새롭게 정립했습니다. 새로운 정의에 따르면, 행성은 그 궤도 주변의 영역을 지배해야 합니다. 세레스는 그 크기에도 불구하고 소행성대 내에서 다른 천체들의 궤도를 지배하지 못하므로, '왜소행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4. 과학적 이해의 변화: 세레스는 초기에는 단순히 큰 소행성으로 여겨졌지만, 추가적인 관측과 연구를 통해 이 천체가 행성과 유사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이는 세레스를 왜소행성으로 재분류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세레스는 왜소행성으로 분류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분류는 우리가 우주와 그 구성 요소를 이해하는 방식에 대한 중요한 진전을 나타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