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보람찬파리71
보람찬파리7123.01.18

최면효과도 과학적 원리가 들어있나요?

TV프로그램을 보다가 최면이 나와서 질문드려봅니다. 최면효과도 과학적 원리가 들어있을까요? 만약 들어있다면 어떤 과학적 원리가 들어가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8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흔히 최면상태라 함은 트랜스 상태를 최면으로 이야기하는데요

    트랜스상태란 무엇인가에 대해 몰두하여 지각능력이 왜곡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하지만 최면이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선 과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리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최면효과에는 아직 논란이 많습니다.

    특히 범죄 과정에서 내용의 기억을 탐색하게 되면,

    최면(이라는 행위)이 기억을 강화하기 때문에 신뢰도가 어느정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기억한 내용 자체에 대한 정확성에 논란이 여전히 많이 제기되고 있어 타당성이 의심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최면을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최면은 이완입니다.

    최면상태가 되면 잠을 자는것처럼 편안해집니다.

    긴장이 사라졌다는겁니다.

    이완이 되면 마음이 문이 열리고, 사람이 허용적이며, 사고영역보다는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보는 상태가 됩니다.

    그러다보니 최면사의 지시대로 따라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나 최면에 걸려도 100% 의식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피체험자가 맘 먹고 거짓말을 하려고 하면 당연히 그것이 가능합니다.

    물론 최면이 걸리지도 않겠구요.

    결국 최면은 최면사가 조종을 하는 것이 아니라 최면을 받는 사람이 조종하는 것입니다.

    자신이 최면사의 의도대로 따라주고 싶으면 그렇게 하는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언제라도 눈을 뜨고 일어나버릴수가 있습니다.


    다만 최면상태가 되면 이성적인 판단이 약해지기 때문에 되도록 허용해주는 상태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