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01

과거 유럽의 제국주의는 어떻게 등장하게 되었나요?

유럽의 강대국들이 세계 여기저기에 식민지를 건설하고 자신들의 힘을 키워나갔다고 알고있습니다. 이러한 제국주의들은 어떻게 나타나게 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단정한낙지284
    단정한낙지28423.05.02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럽 제국주의는 15세기~20세기 중반까지 유럽이 다른 지역을 식민지화하거나 지배하고 영향력을 행사했더너 시기인데요. 이런 제국주의가 가능했던 배경에는 요인이 있습니다.

    먼저 15세기 말경 유럽에서 르네상스 시대가 오면서 유럽은 인문주의적인 사고방식이 발전하고 지식의 확산되면서 좀더 자유로운 사고방식으로 인해 자신들의 국가만이 아닌 전세계 대륙과 다른 문화에 대한 관심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게다가 17세기경 유럽은 산업화가 진행되었고 자본주의의 발달이 태동하였는데 이로 인해 유럽국가들은 그들의 산업에 필요한 원료 공급처와 상품의 판매처 투자처등이 필요하게 됩니다. 하지만 그상황에서 주변 유럽국가와 이해가 맞물려 정치적 경제적 갈등이 지속되면서 제살 깎아먹기가 될 우려가 있어 외부로 시선을 돌리게 됩니다. 이 니즈와 그들이 가진 군사력을 앞세워 주변 약소국을 침략 식민지화 하게 된것입니다.

    결국 전 세계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자신들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제국주의적인 정책을 펼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국주의(帝國主義,Imperialism)는 열강들이 강한 경제력과 군사력을 앞세워 타국에 대해 정치, 경제 및 문화적 지배력을 확대하려는 사상과 그러한 사상을 바탕으로 한 정책을 의미한다. 따라서 '황제가 다스리는 나라'라는 뜻의 제국과는 의미가 다르다.

    제국주의가 야기한 막대한 폐해를 의식해, 현대에 제정되는 국제법과 국제협약들은 제국주의에 대한 거부와 자유로운 주권 행사가 전제된 자결권의 원칙을 포함하고 있다.

    제국주의는 식민주의에서 제국주의로 이어져 왔다고 합니다.

    제국주의는 강대국 내 지배층들의 정치적 전략에 가까웠다. 표면적으로 경제적인 이익이 강조됐지만, 실상 경제적 실효는 그다지 크지 않았다. 19세기 후반에 유럽인들은 사막, 정글, 툰드라 등이나 인구/권력 측면에서 기존 공동체의 입지가 굳건했던 동아시아 정도를 제외하면 죄다 손에 넣은 상태였다. 식민지의 규모는 18세기 후반부터 급격하게 방대해져 막대한 군대와 행정정부를 필요로 할 정도에 이르렀다. 가령, 영국 동인도 회사는 인도에서 대대적으로 식민지를 확대한 18세기 후반부터 적자에 빠져 상업성을 잃었다. 1860년대 이후 열강 간의 경쟁에 합류한 독일에서도, 실권자 비스마르크는 경제적 이익이 없다는 이유로 식민지 경영에 부정적이었다. 그럼에도 독일 역시 나미비아, 탄자니아, 토고, 카메룬 등을 식민지로 삼았다. 독일의 기득권 융커층과 군부가 자국 안의 불만을 외부로 돌릴 필요를 느껴서였다.

    제국주의 열강들이 식민지를 확장하려 경쟁하다 보니, 이들끼리의 충돌도 불가피했다. 이러한 이유로 제국주의는 제1차 세계대전의 주요한 원인이 되었다. 세계대전을 거치며 유럽의 영토는 황폐화됐고 군사력의 상당 부분이 소실됐다. 이렇게 유럽이 식민지를 유지할 역량을 잃어버린 가운데, 새롭게 세계의 주도권을 쥔 미국은 민주주의 전도사를 자칭하고 소련은 제국주의로부터의 탈출을 부르짖었다. 유럽 안에서도 확장주의 정책에 대한 반발의 목소리가 커졌다. 결국 1900년대 초반부터 식민지들의 독립이 시작되어, 1950~60년대까지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국가들 중 대부분이 독립했고 제3세계 담론이 활발하게 들끓었다. 그러나 유럽이 식민지에 강제로 구축했던 억압적 체제는 제대로 청산되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적잖은 독립국가들이 정치적 공백으로 인한 내홍을 겪거나 독재체제로 이행하는 비극을 겪었다.

    출처: 나무위키 제국주의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6세기 지리상의 발견시대가 전개되면서 지구는 사긱형으로 생겼고 어느 정도 가다보면 떨어져 죽는다. 그곳이 헬(지옥)이라는 인식이 없어지면서 상업무역이 활발히 전개됩니다. 특히 물물교환 형태에서 벗어나 원료를 확보하기 위한 식민지 쟁탈전에 나서면서 제국주의의 모습을 드러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