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PH 조건이 용해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온결합화합물, 즉 염을 이루었을때 AgCl과 같은 경우는 PH 변화가 용해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AgF와 같은 경우에는 산성의 환경에서 순수한 물에 있을 때보다 용해도가 증가하는데요. 이와 같이 PH가 용해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리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질문해주신 것과 같이 pH가 용해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리는 크게 용해 평형과 이온의 산염기 반응성과 관련이 있는데요, 어떤 염이 물에 녹을 때 형성되는 용해 평형 식에서 용해도는 이 평형이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서 AgCl이 물에서 해리된다고 할 때 Cl⁻는 강산 HCl의 짝염기이기 때문에 물 속에서 추가적인 산염기 반응을 거의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pH가 변해도 Cl⁻ 농도에는 영향이 거의 없고, 용해도도 그대로 유지됩니다.
반면에 AgF는 물에서 해리되는데, 여기서 F⁻는 약산 HF의 짝염기이므로, 수소 이온이 증가하면 F⁻가 HF로 전환되면서 자유로운 F⁻ 농도가 감소합니다. 평형은 르샤틀리에 원리에 따라 더 많은 AgF가 녹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결과적으로 AgF의 용해도가 산성 환경에서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를 정리해보자면 염의 음이온이 강산의 짝염기인 경우, 즉 Cl⁻, Br⁻, I⁻, NO₃⁻인 경우는 pH 변화에 영향이 거의 없지만 염의 음이온이 약산의 짝염기인 경우, 예를 들어서 F⁻, CO₃²⁻, S²⁻이면 산성 환경에서 H⁺와 반응해 평형이 이동하여 용해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