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음악

하히하
하히하

숟가락 젓가락 받침 다른 이유

영화 보다가 궁금해진 건데 둘 다 받침 발음이 똑같고 밥먹는 도구인 것도 같은데 왜 ㄷ 과 ㅅ으로 다르게 쓰는 건가요? 궁금해서 질문 올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빛나라하리
      빛나라하리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숟가락과 젓가락의 받침이 다른 이유는 한글맞춤법 제29항에 나옵니다.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 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나는 것은 ㄷ으로 적는다는 규정입니다.

      숟가락의 경우 밥 한 술의 술과 가락이 결합 하면서 술 + 가락의 술이 숟으로 발음 나는 것이므로 규정에 따리 숫이 아닌 숟으로 적은 것이고, 이와 달리 젓가락의 ㅅ은 이른바 사이시옷 입니다. 다시 말하면 이 낱말은 저와 가락이 합성된 말로 저 - 가락이 (저까락)으로 발음 되므로 이런 사실을 나타내기 위해 애초없던 ㅅ을 덧 붙인 것입니다. 여기서 저는 한자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젓가락을 뜻하는 저 한자어에 ㅅ 이 가라과 붙어 젓가락이 되었습니다. 어원이 그렇지요. 숟가락은 다릅니다. 밥 한술에 배부르랴에서 보듯 수 + ㅅ +가락이 아니라 술 +ㅅ + 가락이 되어 숟가락이 된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제가 대학 다닐 때 어느 교수님께서 농담조로 이야기 해 주셨던 기억이 나는데요.


      숟가락의 ㄷ 받침은 밥을 뜨는 숟가락의 오목한 모양에서 나왔고,


      젓가락의 ㅅ받침은 젓가락 두개가 엇갈린 모양에서 유래 됐다라고 이야기 하셔ㅛ습니다.


      그게 맞는지 안 맞는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강의 중에 재밌는 이야기라고 해주셔서 신빙성이 어느 정도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어떤 말의 어원을 밝히는 학자는 상상력이 중요하다는 차원에서 하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숟가락'의 '숟'은 본디 '술'인데,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 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ㄷ’ 소리로 나는 것은 ‘ㄷ’으로 적으므로, '숟가락'과 같이 적습니다. 


      한편 ‘젓가락’은 15세기에 ‘졋가락’의 형태로 나타난 말로, '젓가락<졋가락(←져+-ㅅ+가락)'의 과정을 거쳐 쓰였습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