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대견한오솔개199
대견한오솔개199

시중 생수병의 미세플라스틱 문제는 얼마나 심각한가요?

미세플라스틱 문제가 자주 방송등의 언론을 통해서 알게되는데요

그러한 미세플라스틱이 인체에 얼마나 해로우며 제조공정 규제나 관리로 해결할수는 없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제조 공정 규제나 관리에 있어서 1차 미세플라스틱은 문제 해결에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이미 여러 국가에서 마이크로비즈와 같은 1차 미세플라스틱의 제조 및 사용을 금지하거나 규제하고 있는데 제조 단계에서부터 문제를 차단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2차 미미세플라스틱은 이미 만들어진 플라스틱 제품이 시간이 지나거나 사용되면서 자연스럽게 부서지는 과정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 규제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렵습니다. 모든 플라스틱 제품이 미세플라스틱으로 분해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는 것은 현재 기술로는 거의 불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기존 조사에서 생수병 내부에 미세플라스틱 함량을 조사했을 때 90% 이상의 생수병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것으로 나왔습니다. 미세 플라스틱은 1nm 에서 5mm 크기의 플라스틱으로 평균 1L 당 10~30만개 정도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미세플라스틱을 규제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미세한 크기 이기때문에 제조과정에서 미세플라스틱 발생을 기계로 매번 확인 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생수의 경우 물을 넣고 시간이 지나면 검출되는 형태이기에 더욱 관리하기는 어렵습니다.

    미세플라스틱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하게 분석된 결과는 없지만 결과를 예측해 볼 수는 있습니다. 폐기된 플라스틱이 바다로 흘러가게 될 경우 어폐류에 쌓이고 이런 것들이 점차 먹이사슬 상위인 인간에게 까지 돌아오기 때문에 현재 축적되는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이후 시간이 지나 이러한 플라스틱들은 인체로 들어올 경우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크기가 워낙 작다보니 세포벽 사이에 축적되어 암을 발생시킬 수도 있고 뭉쳐진 미세플라스틱에서 유해물질들이 나와 신체의 내분비계를 혼란시킬 수도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