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심심한호랑이161
심심한호랑이16123.06.03

우리 조선시대에 성리학자가 많았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우리나라 조선시대를 보면 성리학자들이 많았습니다

율곡 이이 라던지 성리학을 기반으로 학문을 발전시켰는데 어떤 이유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말기 중국 명의 성리학을 공부했던 문신들과 절대 권력을 휘두르던 무신들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었습니다. 무신들이 왕권을 위협하고, 비리가 많아 성리학자들 중 정도전을 중심으로 세상을 뒤엎을 생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문신들만으로는 무신들이 권력의 중심이던 고려를 뒤엎을 수는 없었죠. 그래서 실력은 있으나 기득권에 위협이 될까봐 변방에 쫒겨나 있어 불만이 있었던 이성계를 이용하여 역성혁명을 도모하게 됩니다. 당시 새로운 세상의 조건은 힘이 아니라 성리학의 기반에 세워지는 나라였습니다.

    이성계도 그것에 동의했고 그래야만 나중에도 고려처럼 무신들이 서로 권력을 차지하기 위해 싸우는 일이 없고 왕권도 강화될 수 있을 거라 생각했던 것입니다.

    조선을 건국하고 이성계가 왕이 되는 과정에 함께 했던 정도전은 죽임을 당하게 되었지만, 그 뜻을 이어가 조선은 성리학을 기반으로 하였고 그 학자들이 정치의 선봉에서 나라를 이끌어가게 되었던 것입니다. 그러니 성리학자들이 많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과거시험도 모두 성리학에서 출제되었었으니까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03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학(儒學)의 한 형태로서, 중국 송대(宋代)에 발생한 성리학이 조선에 들어와 전개된 학문. 조선 성리학이라 할 때는 이것이 조선 유학사상의 주류를 이루었다는 측면에서 조선 유학 전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성리학은 선진(先秦)의 근원 유교나 경서(經書) 주석을 주로 한 한(漢)ㆍ당(唐)의 훈고학(경학)과는 성격을 달리 한다. 성리학이라고 한 것은 '성'(性)이나 '이'(理)를 논하는, 일종의 철학적 이론의 학문이라는 것이다. 경서(특히 『주역』 『사서』를 중심으로)의 새로운 해석을 통하여 '이기론'(理氣論 : 本體論) '심성론'(心性論) '수양론'(修養論) 등이 전개되었다.

    성리학의 다른 명칭으로는 송대에 이루어졌다 하여 송학(宋學)이라고도 하며, 정호(程顥)ㆍ정이(程) 형제와 주희(朱喜 : 朱子)에 의하여 체계화되었다 하여 정주학(程朱學) 또는 주자학(朱子學)이라고도 한다. 또한 새로운 유학이라는 의미로 신유학(新儒學, neo-Confucianism)이라고도 한다. 그 주류는 이학(理學) 또는 도학(道學)이라고 불리우는 주자학과, 심학(心學)이라 불리우는 육왕학(陸王學 : 陸九淵ㆍ王守仁 계통의 학파)과 양명학(陽明學)의 양대 학파이다. 그러나 흔히 성리학이라 할 때는 좁은 의미로 주자학 계통만을 일컫는 것이 상례이다. 조선 성리학은 특히 이학계통의 주자학이 정통으로서 주류를 이루었다. 그리하여 조선성리학을 흔히 주자학이라고 일컫는다.

    주자학으로서의 성리학은 우리나라에 고려 말 충렬왕(忠烈王) 때 원나라로부터 안향(安珦)에 의해 전래되었다. 안향은 1289년(충렬왕 15년)에 원나라에 들어가 『주자전서』(朱子全書)를 베끼고, 공자ㆍ주자의 상(像)을 그려 가지고 왔다. 고려 말의 사회풍조는 노불사상(老佛思想)의 지나친 신비주의에 빠져 침체를 면치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민족 국가의 차원에서 새로운 학풍 진작이 요구되었다. 원나라의 예속에서 벗어나 자주적 독립성을 강조하는 데 있어서도 주자학은 윤리적이며 합리적인 차원과 함께 사회 국가적으로 적극적이고 문화적인 활력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환영을 받았다.

    고려 말의 성리학은 성균관을 중심으로 안향ㆍ백이정(白正)ㆍ권부(權溥)ㆍ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길재(吉再) 등에 의해서 계승되었다.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성립하는 과정에서 사상적 전환의 계기가 된 '배불숭유'(排佛崇儒) 운동으로 성리학은 더욱 발전하게 되었다. 한편 성리학은 고려 말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면서 크게 2대 계열로 나누어졌다.

    하나는 정몽주에서 시작된 의리학파이다. 이 계열의 학풍은 인간의 내면적 본성을 강조하고 만고불변의 도덕의식을 개발하는 데 그 주안점이 있었다. 다른 하나는 정도전(鄭道傳)ㆍ권근(權近) 계열로서 조선의 훈구파 정치인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여기서는 불변의 인간성 개발보다는 상황에 대응하는 창조적 변혁을 강조하며, 관념적 의리나 도덕보다는 인간의 의지적 연마와 지식의 개발, 그리고 문화의식을 고취하는데 그 중점을 두었다. 조선 유학사상사의 정통을 말할 때 정도전 계열보다는 정몽주 계열의 학맥을 연원으로 삼는데, 이점이 조선성리학의 특색이다.

    정몽주에서 시작된 이러한 성리학은 그 후 길재, 김숙자(金叔滋), 김종직(金宗直), 김굉필(金宏弼), 조광조(趙光祖) 등으로 이어졌다. 조선 성리학은 4대 사화(四大士禍) 이후 선비들이 실천유학으로서의 지치주의(至治主義)보다 산림에서 학문에 전념하는 풍조가 일어나 이론적이며 사변적인 학품 조성으로 그 전성기를 맞았다.

    15~16세기가 절정기로서 이황(李滉)과 이이(李珥)가 그 대표로 조선 성리학의 쌍벽을 이루었다. 이황은 기대승(奇大升)과 더불어, 이이는 성혼(成渾)과 더불어 사단칠정(四端七情)에 관한 논변을 통하여 이기성정론(理氣性情論)과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 등을 활발히 전개하였다. 한편, 내면적 도덕 원리인 인성론(人性論)은 송익필(宋翼弼), 김장생(金長生), 김집(金集) 등에 의해 유학의 행동 규범인 예설(禮設)로 전개되었다. 특히 사단칠정론의 인성(仁性)에 대한 분석과 변론은 보편적 이념인 성품이 인간과 동물에 있어서 같은가 다른가를 물었던 호락론(湖洛論)의 인물성동이(人物性同異) 문제에 관한 논쟁으로 발전하였다.

    한편 이기론(理氣論)은 조선 전기에는 이ㆍ기의 조화를 추구하는 입장이 우세했던 반면, 중기 이후에는 그 중 어느 한 면만을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곧 주리론(主理論)과 주기론(主氣論)을 주장하는 양파로 갈라졌다. 이 주리ㆍ주기의 논쟁은 조선 성리학의 양대 분파로 발전하였다. 조선 성리학의 특징으로는 자연이나 우주의 문제보다 인간의 내면적 성정(性情)과 도덕적 가치의 문제를 추구한 것을 지적할 수 있다. 또한 사단칠정론, 인심도심설, 그리고 주리ㆍ주기의 쟁점에서는 중국 성리학보다 진일보한 일면이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조선 성리학 [朝鮮性理學] (철학사전, 2009., 임석진, 윤용택, 황태연, 이성백, 이정우, 양운덕, 강영계, 우기동, 임재진, 김용정, 박철주, 김호균, 김영태, 강대석, 장병길, 김택현, 최동희, 김승균, 이을호, 김종규, 조일민, 윤두병)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리학은 조선시대에 들어와 본격적으로 발달했습니다. 조선조를 개창하였던 당시역성혁명의 주체는 대내적으로는 왕씨 정통의 문란을 비판하고 대외적으로는 배원친명의 외교 정책을 추구하였는데 여기에서 성리학의 춘추대의적 의리관(義理觀)을 엿볼 수 있습니다.

    성리학이 조선의 개창을 합리화하는 토대가 되면서부터 조선시대 사상의 중심부로 부상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라 때부터 이어져오던 불교가 고려시대에 접어들며 비리의 온상이 되었고 이성계 입장에서는 조선에서 불교를 대신할 새로운 이념적 학문이 필요했습니다. 이 때 가장 불교를 강하게 비판하던 학문이 바로 송나라 주자의 성리학이었습니다.


  • 조선 시대에 성리학이 큰 영향력을 가진 것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1. 사회 및 정치적 안정: 성리학은 명분론과 도덕적 가치를 강조합니다. 이런 관점은 사회적 안정과 국가의 권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성리학이 중요하게 여겨진 이유 중 하나는 그것이 정치적인 안정과 질서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는 점입니다.

    2. 교육 체계: 성리학은 조선의 교육 체계, 특히 고시 시스템의 핵심이었습니다. 성리학을 기반으로 한 과목은 학자로서의 생활을 준비하는데 필수적이었으며, 이를 통해 성리학은 교육과 학문의 중심에 서게 되었습니다.

    3. 사회 구조와 신분 제도: 성리학의 가치 체계는 사회적 계급 제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습니다. 성리학은 사회 질서와 직무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것은 사회 구조와 신분 제도를 정당화하는 데 기여하였습니다.

    4. 도덕적 지침: 성리학은 사람들이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였습니다. 그것은 개인의 행동, 가족의 의무, 사회적 관계 등에 대한 도덕적 기준을 설정하였습니다.

    이렇게 보면, 성리학이 조선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 것은 교육, 정치, 사회, 도덕 등 여러 분야에서 그 가치와 효용성을 입증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학자들이 성리학을 연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신의 학문적 업적을 만들어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