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성인남성 정상체중 기준이 정말 맞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의사선생님, 다름이 아니라 우리나라 정상체중 기준이 너무 낮다고 생각되는데요. 신장마다 다르겠지만 75kg만 되도 비만이라고 나오던데 현대식단 칼로리와 비교하면 좀 과도하게 책정 된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개인적으로 격투기를 조금 했는데 한국 기준이라면 헤비급이나 라이트헤비급 선수들은 거의 다 비만이던데;;
현재 신장별 몸무게 기준이 정말 맞는건가요?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몸무게로는 판단하지 않습니다. 즉 체지방과 근육량 분석을 동반해야 정확한 체중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인들이 보기에는 체지방 지수와 근육량을 비교하면서까지 정상체중을 말하기 힘들기 때문에 보통 전체 몸무게로 말하게 되는 것입니다.
근육량이 많은 75kg와 근육은 없고 지방만 있는 75kg는 다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일반적으로 키와 나이 그리고 성별에 따라서 적정 체중을 계산하는 BMI 수치는 썩 좋지 못한 기준입니다. 그도 그럴 것이 같은 체중이더라도 몸의 근육량, 체지방률 등에 따라 건강 상태가 전혀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체중을 기준으로 삼으면 안 됩니다. 운동 선수들은 BMI 기준으로는 비만이지만, 대부분이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고 지방은 적기 때문에 체중이 많이 나가도 건강합니다. 반면에 마른 비만이라고, 체중은 낮아도 체지방이 과하여 건강하지 않은 사람도 있습니다. 이야기가 길어졌는데, 결론적으로 신장별 몸무게 기준은 맞지 않습니다. 어디까지나 참고 정도만 하시고, 건강한 몸을 유지하시기 위해서는 체중 보다는 근육량을 최대화, 체지방량을 최소화 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남성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근육양이 많은 분들은 쉽게 과체중이나 비만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도 외국 기준으로 비만의 기준을 올리자는 의견도 있답니다. 참고로 몸무게만을 가지고 비만의 치료 여부를 결정하기 보다는 체지방의 양을 고려하여 결정하기도 합니다. 단순히 체중이 많이 나간다고 해도 근육이 많은 경우라면 별로 신경쓸 필요는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정상체중 질문에 자신의 키가 없군요 피해 따라서 정상체중으로 완전히 다릅니다 휠베이스로 개선하게 됩니다 네이버에서 정상 최종만 검색해 보셔도 자기 키에 맞는 정확한 정상체중을 아실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BMI라는 수치로 계산을 하시면 나옵니다.
보통 23정도면 정상으로 봅니다.
꾸준하고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을 하루 30분~1시간 정도 하시기 바랍니다.
음식관리는 기름진 음식을 가급적이면 피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시다시피 운동을 열심히 하셨다면 단순 몸무게로만 이야기하기 힘듭니다. 근육량이 많으면 부피에 비해 무게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단순히 체중 기준으로 하면 비만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기덕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비만의 정의는 건강에 해가 될 정도로 지방이 축적된 상태입니다.
그런데, 연구 데이터에 따르면 나라마다 병이 생기는 체중이 조금 달라요.
서양인의 경우 체질량 지수가 30정도 되면 질병이 증가해서
30을 기준으로 비만을 정의하는데,
아시아와 동양인들은 25만 넘어도 질병 발생률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서양과 기준이 조금 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