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의 무결성을 검증하는 합의 알고리즘은 어떤 것이 있나요?
블록체인의 무결성을 검증하는 합의방식 중 가장 많은 방식은 작업증명과 지분증명 그리고 이 두 가지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외에 또 어떤 합의 알고리즘이 있을까요?
투표에 의해 선택된 소수의 노드가 권한을 위임 받아 합의하는 방식도 있다고 들었는데 이런 합의 알고리즘은 해당 블록체인의 기술력과 추구하는 개발 노선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답변 부탁 드립니다.
- 질문자께서 질문해주신 내용을 중심으로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블록체인의 무결성을 검증하는 합의방식 중 가장 많은 방식은 작업증명과 지분증명 그리고 이 두 가지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외에 또 어떤 합의 알고리즘이 있을까요? - 우선 질문자께서 말씀하신 '투표에 의해 선택된 소수의 노드가 권한을 위임 받아 합의하는 방식'은 DPOS 위임 지분 증명 방식을 합의 알고리즘입니다. 이것을 채택하고 있는 코인에는 이오스, 스팀 등이 있습니다. 
- 다음으로 POW+POS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합의 알고리즘 외에도 DPOS와 BFT 비잔틴 장애 허용 알고리즘을 결합시킨 코스모스의 텐더민트, POS와 BFT 비잔틴 장애 허용 알고리즘이 결합 하이브리드 합의 알고리즘을 채택하고 있는 폴카닷 등이 있습니다. 
- 그리고 POI 중요도 증명 합의 알고리즘도 있습니다. NEM 블록체인의 경우 실제로 블록체인 상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거래를 하는 노드를 중요하게 간주하고 그 사람에게 블록을 생성하고 수확할 수 있는 기회를 줌으로써 블록체인의 활성화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 또한 POB 소각 증명 합의 알고리즘이 있습니다. 카운터 파티와 같은 소각 증명방식이 사용된 코인은 비트코인을 소각함으로써 제한된 수만 발행되며 전송 수수료로 사용된 코인 또한 소각됨으로써 점점 희소성이 더해가는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 끝으로 PoF 합의 알고리즘은 블록 생성 노드들 간의 점수로 순위를 매겨 일정한 순서에 따라 채굴을 진행하게 됩니다. 즉 모든 노드에 트랜젝션이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순서대로 한 노드에만 전달되어 빠르게 블록을 생성하게 되며, 따라서 블록이 동시에 생성될 염려가 없어 블록체인의 '분기(Fork)'도 일어나지 않게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