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물리

활달한파리매77
활달한파리매77

계단을 내려오는 것보다 오르는게 운동이 도움이 된다는데 궁금한게 있어요

예전부터 듣던 게 제목에서와 같이 계단을 내려오는 것보다 오르는게 건강과 살을 빼는데 도움이 된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는데 과학적 근거가 있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Panda
      Panda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

      계단을 오를 때는 관절에 무리 없이 허벅지 근육을 이용해 올라가기 때문에 하체 운동하기 효율적입니다.

      반대로 하산할 때는 무릎에 무리가 가기 때문에 조심해야되는데요. 그래서 계단운동할 경우 올라가실 때는 다리로 가주시고 내려갈 때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우리의 무릎은 재생이 되지 않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계단을 오르는 것과 산을 오르는 것은 모두 오르막길은 오르면서 걷는 것과 다르게 허벅지 근육을 더 사용하게 됩니다. 이 때문에 일반 걷는 것 보다 운동량이 더 높은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계단을 오르는 것은 하체 근육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하체 근육은 우리 몸의 전체 근육량의 약 60%를 차지하며, 우리 몸의 균형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체 근육이 강하면 걷기, 달리기, 계단 오르기 등과 같은 일상적인 활동을 할 때 훨씬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하체 근육이 강하면 심장과 폐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계단을 오르는 것은 심폐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계단을 오를 때는 심장과 폐가 더 많은 산소를 공급해야 합니다. 따라서, 계단을 오르다 보면 심장과 폐의 기능이 향상됩니다. 심폐 기능이 향상되면 혈액 순환이 개선되고, 혈압과 콜레스테롤 수치가 감소합니다. 또한, 심장병, 뇌졸중, 고혈압 등의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계단을 내려가는 것보다 올라가는 것이 과학적으로 볼때 근육 사용과 칼로리 소비량이 많아 운동이 더 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계단을 내려갈 때는 중력의 도움을 받아 내려가기 때문에 근육의 사용량이 상대상대적으로 적으나 계단을 올라갈 때는 중력을 거슬러 올라가야 하기 때문에 근육의 사용량이 많습니다. 특히, 하체 근육인 허벅지, 엉덩이, 종아리 근육이 많이 사용됩니다.

      계단을 올라갈 때는 혈액순환이 활발해져 심혈관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이는 계단을 올라갈 때 심장이 더 많은 혈액을 펌프질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계단을 올라갈 때는 호흡량이 증가하여 폐활량 향상에도 도움이 됩니다.

      또한 계단을 올라갈 때는 계단을 내려갈 때보다 칼로리 소모량이 더 많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계단을 10분 동안 올라갈 때는 계단을 10분 동안 내려갈 때보다 칼로리 소모량이 약 20%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계단을 올라갈 때는 하체 근육의 사용량이 약 2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계단을 올라가는 것이 계단을 내려가는 것보다 더 운동이 되는 과학적 근거가 있습니다. 계단을 이용하여 운동을 하고 싶은 경우, 계단을 올라가는 것을 추천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계단을 오르는 것은 유산소 운동의 한 형태입니다. 유산소 운동은 심박수를 증가시키고 호흡량을 늘리며,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킵니다. 이로 인해 체내 지방 연소가 증가하고,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리 근육들을 사용하여 하체의 근력을 향상시킵니다. 근력 훈련은 대사율을 높여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며, 장기적으로는 체중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심혈관 시스템에 대한 부하를 제공합니다. 정기적인 계단 오르기는 심혈관 건강을 개선하고 심혈관 질환 위험 요인들(예: 고혈압, 당뇨병 등)의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