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

소똥을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소똥을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이 소똥을 어떻게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성분이 무엇이길래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xcute4
    xcute4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똥을 말리면 같은 무게의 코크스를 이용할 때보다 열량이 35%가량 높은 부생가스를 확보할 수 있고,

    말린 소똥을 미분탄(석탄가루)과 섞어서 쓰면 연소 효율이 최고 30%포인트 개선됩니다.

    소똥을 원료로 쓰면 소똥을 오수로 내보내는 것에 비해 환경오염을 덜 수 있고 수입 원료를 대체해 원가 경쟁력을 높이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똥은 건조되면 고체연료가 되어 가열 시 열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소똥은 탄소, 질소, 인 등의 원소와 물질로 구성되어 있지만, 현재는 환경 문제와 위생 문제 등으로 인해 대부분의 에너지 생산 과정에서 다른 원료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가 먹는 먹이가 풀, 잎, 곡식, 밀대 등이며 이를 소화한 후에는 50%의 매탄성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1톤으로 3~400kg의 연료를 만들 수 있으며 이 덕분에 마른 소똥의 발열량은 1kg당 3천kcal 이상으로 무연탄의 70% 수준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똥을 연료로 사용한다..


    아프리카나 인도 같은 나라에서 가축의 분뇨를 연료로 사용하는 이유는 그만큼 난방이나 취사에 사용하는 연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거죠. 그런나라들에서는 가장보편적으로 쓰이는 연료인 나무조차도 부족하기 때문이죠..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똥 같은 반추 동물의 분뇨는 섬유질이 많아 옛날부터 유목민들이 주요한 난방원료로 사용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똥은 생물학적으로 분해 과정을 거치면 메탄이라는 가스가 생성되는데, 이 메탄은 천연가스와 유사한 성분을 가지고 있어서 연료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메탄은 화학식 CH4로, 주로 천연가스와 같은 지하 수화산물에서 발견됩니다. 이 가스는 연소에 의해 열과 에너지를 생성하며, 발전소 등에서 발전을 위한 연료로 사용됩니다. 마찬가지로, 소똥에서 추출한 메탄도 연료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소똥에서 메탄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소똥을 수직형 혐기성 발효기에 넣어서 밀폐된 공간에서 발효시켜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메탄이 생성되며, 추출할 수 있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