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숭늉한사발
숭늉한사발23.05.10

도박중독을 질병으로 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반복적인 도박으로 인해 장애를 일으키는 증상을 도박중독 도박장애로 아예 공식적으로도 정신질환으로 인정된다고 하는데, 도박중독자의 뇌의 어떤 부분에 문제가 생기게 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네에 당장 다 내려놓고 병원가거 진료 받아보세요

    도박...잘하면 큰돈이 될지 몰라도 잃는순간 남의돈 입니다

    그리고 가족들이 이해를 못해주니 더더욱 대화하기 싫어지고 그런거 같네요

    하루빨리 다시 제자리 찾으시길 바랍니다

    글쓴이가 힘든거에 배이상 가족들은 힘들어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도박중독은 신경과학적인 수준에서도 연구되고 있으며, 뇌의 보상과 관련된 시스템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도박은 일시적인 보상으로 인해 도박중독자의 뇌에서 도파민 수치가 증가하며, 이로 인해 중독성 행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도박중독은 정신의학적 질병으로 분류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질병인 도박중독(gambling disorder)은 신경 생물학적 요인으로 뇌의 세로토닌, 도파민, 노르아드레날린, 오피오이드계의 이상이 보고되고 있읍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도박 중독은 뇌의 다양한 부분에 영향을 미치며,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신경과학적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우선, 도박 중독자들은 기존의 보상체계와는 달리 보상을 받을 가능성이 낮아져도 계속 도박을 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도박 중독자들이 도박과 관련된 뇌의 보상회로가 다른 사람들보다 과도하게 작동한다는 연구 결과와 일치합니다.

    또한, 도박 중독자들은 뇌의 도파민 수용체(D2)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납니다. 도파민은 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뉴로트랜스미터로서, 보상, 운동 제어, 감정 등 다양한 기능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도파민 수용체의 감소는 우울증, 불안증 및 중독과 관련된 다양한 심리적 증상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