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코인이 실 사용 될 경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까요?
블록체인의 미래는 해당 코인이 대중적인 시장에서 실제 사용될 수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운명이 결정될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코인이 실사용되기 위해서는 당연히 많은 유저들을 끌어 모을 컨테츠가 있어야 할 것이고 우리는 이것을 킬러앱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만약 킬러앱내 유료 컨테츠(웹툰,게임,지식컨테츠,교육....)를 이용하기 위해 블록체인에서 발행하는 코인으로 결제하게 한다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1000원으로 1000aha를 구매하였는데 이후 가격이 폭락하거나, 폭등했을때.. 사실 폭등은 좋은 쪽이라 문제 삼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반대로 폭락할 경우 컨테츠를 이용하기 위한 목적일 경우 블록체인 코인을 보유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이 있을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그래서 스테이블 코인이 등장 하고 있지만, 스테이블 코인이 법정 화폐와의 연동성 즉 발행된 코인만큼의 법정 화폐 가치만큼 별도의 신뢰기관에 보유하고 있는지의 문제로(테더 사태) 현재까지는 스테이블 코인이 이 문제에 대한 유일한 대안처럼 느껴지지만 신뢰성에 대해서는 미지수로 남아 있는거 같습니다.
그래서 스테이블 코인이 아닌 법정 화폐로 컨테츠를 구매 하게 한다면 이는 반대로 블록체인 코인에 대한 구매 가치와 사용 가치를 떨어 뜨리는 것이 아닌가 생각 되기도 합니다.
이 분야에 대해 전문가분이 계신다면 제가 갖고 있는 이 딜레마에 대한 답변을 주셨으면 합니다.
정리하면 아래와 같은 내용의 고민과 해결책에 대한 질문입니다...
블록체인 코인으로 앱내 유료 컨테츠로 결제를 할 경우 가격 변동성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스테이블 코인으로 앱 구매를 할 수 있도록 2통화 정책을 펼칠 경우(예: 스팀, 퍼블리토)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가치 보장에 대한 신뢰성이 의심된다.
컨테츠 결제를 각국 법정 화폐로 할 경우 자체 발행한 코인의 구매 수요가 낮아 져 인플레이션 발생에
대한 해결책이 없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