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15

가을하늘이 높고 맑은 이유가 있나요?

가을에는 유독 하늘에 구름도 거의 없고 맑게 보이는데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시베리아기단의 영향으로 찬 기단이 안정적이기 때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22.11.15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가을의경우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기때문에 대기중에 먼지가 같이 쓸려나가 맑은하늘이 됩니다.


    하늘이 맑아지면 빛의 산란정도가 바뀌어 하늘이 더 짙은 파란색을 띠고 더 높아보이게됩니다.


    감사합니다.


  • 하늘이 높이는 햇빛의 산란에 의해 결정됩니다.

    가을엔 대기 중의 먼지가 다른 계절보다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따라서 더 높은 고도에서 빛이 산란 될 수 있고, 하늘을 보면 더 높게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높게 보이는 것은 공기 중에 먼지가 적어서 낮은 고도에서 빛의 산란이 적기 때문입니다.

    산란은 태양빛이 먼지나 작은 입자에 부딪혀 부서지는 것으로 하늘의 파란색을 볼 수 있게 해 줍니다.

    하늘의 색이 파랗게 보이는 것은 아주 높은 곳의 미세한 공기 분자에서 태양빛이 산란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산란이 없다면 하늘은 검게 보였을 것이다. 우주 공간이 항상 검은색을 띠고 있는 것은 산란될 공기가 없기 때문입니다.

    비행기의 고도가 점점 높아질수록 창밖으로 보이는 하늘이 어두운 색으로 바뀌는 것도 같은 이유입니다.

    공기 중에 입자가 큰 먼지가 많으면 하늘이 뿌옇게 보이는 것도 산란 때문이랍니다!